이젠 백인 남자 전유물 아냐…달에 갈 때 입을 새 우주복 공개

유영규 기자 2023. 3. 16. 10:1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5일 미 BBC 방송,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NASA는 이날 미국 휴스턴에 있는 존슨우주센터에서 '아르테미스(Artemis)Ⅲ' 임무를 수행에 사용될 우주복 시제품을 선보였습니다.

새 우주복은 1969년에 인류 최초로 달에 발을 내디딘 우주비행사 닐 암스트롱이 입었던 부피가 큰 흰색 우주복과 달리 진한 회색 바탕에 주황색과 파란색 줄무늬가 가미됐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아르테미스Ⅲ 프로젝트에 사용할 새 우주복 시제품을 설명하는 모습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인류의 달 복귀에 사용할 새 우주복을 공개했다고 미 BBC 방송 등이 15일(현지시간) 보도했습니다.

15일 미 BBC 방송,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NASA는 이날 미국 휴스턴에 있는 존슨우주센터에서 '아르테미스(Artemis)Ⅲ' 임무를 수행에 사용될 우주복 시제품을 선보였습니다.

아르테미스Ⅲ은 미국 우주비행사들이 반세기 만에 달을 다시 밟는 프로젝트입니다.

NASA는 내년에 달 착륙 없이 달 궤도에 다녀오는 유인 비행(아르테미스 Ⅱ)을 거쳐 2025년에 아르테미스Ⅲ를 발사한다는 계획입니다.

NASA가 완전히 새로운 우주복을 선보인 것은 1981년 이후 처음입니다.

NASA는 지난 2019년 국제우주정거장(ISS)에 여성 우주비행사 크리스티나 코흐와 앤 맥클레인을 보낼 예정이었으나, 우주비행선 발사를 불과 며칠 앞두고 여성 우주비행사 2명에게 제공할 우주복이 없다는 사실을 깨닫고, 맥클레인 대신 남성 우주비행사인 닉 헤이그를 파견한 바 있습니다.

나사는 새 우주복은 미국 남성과 여성의 최소 90%가 입을 수 있도록 설계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아르테미스Ⅲ을 통해 인류 최초의 여성과 유색인종 우주비행사를 달에 착륙시킨다는 나사의 목표를 반영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달을 밟은 NASA 우주비행사 12명은 모두 백인 남성이었습니다.

빌 넬슨 NASA 소장은 "새 우주복은 더 많은 사람이 달을 탐험하고 새로운 과학 실험을 수행하는 기회를 열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새 우주복은 1969년에 인류 최초로 달에 발을 내디딘 우주비행사 닐 암스트롱이 입었던 부피가 큰 흰색 우주복과 달리 진한 회색 바탕에 주황색과 파란색 줄무늬가 가미됐습니다.

가슴 부분에는 우주복 제작을 맡은 액시엄 스페이스를 뜻하는 AX가 주황색으로 적혀있습니다.

다만 NASA는 새 우주복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를 완전히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새 우주복은 우주복의 필수 조건인 산소 공급에 신중히 설계했습니다.

우주의 진공 상태에서 산소 공급이 원활히 이뤄지지 않으면 우주비행사의 폐가 급격히 팽창해 사망에 이를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또 우주비행사들의 활동성을 높이기 위해 관절 부분에 특수 바느질 작업을 했습니다.

헬멧에는 HD 비디오카메라와 조명을 탑재해 고화질 영상 촬영을 가능케 했습니다.

영하 210도까지 온도가 내려가는 달 표면 그늘 지역에서도 견딜 수 있는 부츠도 제작했습니다.

새 우주복의 이러한 특징은 우주비행사들이 달 표면의 지질학적 특징을 조사하고, 샘플 등 여러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라라 키어니 NASA 우주복·탐사선 팀 관계자는 "달은 적대적인 장소이며 달 남극 탐험은 정말 힘든 도전이 될 것"이라며 "우주비행사들이 더 효율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이동성을 개선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 우주복은 아르테미스 3호 발사 전까지 존슨우주센터에서 추가 실험을 거칠 예정입니다.

(사진=AP, 연합뉴스)

유영규 기자sbsnewmedia@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