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국가첨단산단 15곳 조성, 속도감 있는 추진이 관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와 기업이 첨단산업을 키우기 위해 총력전에 돌입했다.
정부가 어제 비상경제 민생회의에서 발표한 국가첨단산업전략 및 산업벨트조성계획은 총 4076만㎡(1200만평) 규모의 국가첨단산업단지 15곳을 조성하는 게 핵심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국가첨단단지 조성이 신속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정부가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업들, 6대 분야 550조원 통 큰 투자
규제혁파, 세제·금융지원 선행돼야
경기도 용인에 조성하는 세계 최대 반도체 클러스터는 주목할 만하다. 2042년까지 710만㎡(215만평) 규모의 부지에 첨단반도체 제조공장 5개를 짓고 국내외 소재·부품·장비업체와 팹리스(반도체 설계) 등 최대 150개 업체를 유치한다는 복안이다. 메모리에 이어 세계 최대의 시스템반도체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야심 찬 계획이다. 삼성이 이곳에 20년에 걸쳐 300조원을 투자하는 통 큰 결단을 내렸다니 반가운 일이다. 직간접 생산유발 효과가 700조원에 이르고 160만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충남 천안(미래모빌리티·반도체), 대전 유성(나노·반도체), 전남 고흥(우주발사체), 경북 경주(소형모듈원전·SMR) 등 14곳도 국가첨단산단 후보지로 지정됐다. 경기침체와 일자리 부족에 허덕이는 지역경제에 가뭄 속 단비일 것이다. 아직 풀어야 할 난제가 수두룩하다. 이들 후보지가 지역의 특화산업과 입지 제안을 수용해 선정됐다고 하지만 기업의 참여 없이는 한 발짝도 나갈 수 없다. 지역 인프라 등이 열악하다면 기업이 투자에 나설 리 만무하다. 부지 확보에 필요한 그린벨트 해제도 지역 주민과 시민단체의 반발을 부를 수 있다.
날로 격화하는 첨단기술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파격적인 세제·금융지원과 과감한 규제 혁파로 속도전을 펼쳐야 한다. 윤석열 대통령은 “국가첨단단지 조성이 신속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정부가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도 “속도를 발목 잡는 모든 요소를 해제할 것”이라며 “범정부 지원단을 가동해 2026년 말 착공할 수 있도록 전속력을 내겠다”고 했다. 말에 그쳐서는 안 된다. 법과 제도적 뒷받침이 신속하게 이뤄져야 기업의 선제적 투자가 빛을 발할 수 있다. 정부와 기업이 한 몸처럼 움직여야 할 때다. 여야 정치권도 반도체 등 전략산업지원법을 초당적으로 조속히 처리해야 할 것이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55세에 손녀 같은 막내딸까지 얻었는데…이혼설 터진 신현준, 진실은?
- “운동 다녀올게” 집 나선 40대女 참변…30대男 “너무 힘들어서”
- ‘78세’ 김용건, 붕어빵 늦둥이 아들 공개? “역시 피는 못 속여”
- “돈독 올랐다” 욕먹은 장윤정, ‘진짜 돈독’ 오른 사정 있었다
- “내 콩팥 떼어주면 돼” 언니에게 선뜻 신장 내어준 동생
- “개보다 못해” 아내에 피살된 유명 강사…백종원 피고발 [금주의 사건사고]
- 누군지 맞히셨어요?…아기 때 얼굴 전혀 없다는 유명 방송인
- “이제 10억으론 어림도 없어요”
- “한국인 45만명 사라졌다”…무슨 일이?
- "남자한테 참 안 좋은데~"… 우리도 모르게 섭취하고 있는 '이것' [수민이가 궁금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