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취재] “하루 종일 집에만”…갈 곳 없는 성인 발달장애인

이청초 2023. 3. 15. 21:4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춘천] [앵커]

지난달 춘천 소양호에선 20대 발달장애인 아들과 50대 아버지가 함께 숨진 채 발견됐었죠.

평생 벗어나기 힘든 무거운 '돌봄 부담'이 비극의 한 원인으로 꼽혔습니다.

KBS는 이에 강원도 장애인들의 돌봄 실태를 집중 보도합니다.

먼저, 몸만 어른일 뿐이어서 하루종일 가족이 돌봐야 하는 성인 발달장애인 가족을 이청초 기자가 만나봤습니다.

[리포트]

70대 아버지 시선의 끝은 40년 가까이 발달장애인 딸만 쫓습니다.

물 한잔 마시는 것 부터 화장실에 가는 일 까지.

하나부터 열까지 도와줘야 합니다.

일주일에 세 번만 일을 나가고, 하루종일 집에만 같이 있습니다.

[황덕근/성인 발달장애인 가족 : "100% 이상 보고 있다, 120% 보는데. 그냥 어떤 순간 0.1% 그 순간에 무슨 일이 벌어진다 이러죠."]

지난해까지만 해도 주간활동서비스센터에 딸을 맡길 수 있어 낮에는 숨통이 트였습니다.

하지만 다니던 시설에서 장애인이 학대를 당했다는 의혹이 불거져 그마저도 못하게 됐습니다.

하나뿐인 곳이라 대안도 없습니다.

활동보조사를 부를 수도 있지만 적당한 사람을 찾기는 힘듭니다.

[황덕근/성인 발달장애인 가족 : "말을 못하니까 애가 가서 무슨 일을 하고왔는지, 어떻게 하고 왔는지 이런 걸 전혀 몰라요."]

학교도 가지 못하는 강원도 내 성인 발달장애인은 7,600여 명.

열 명 가운데 7명은 집에서 지냅니다.

주간활동센터는 이런 발달장애인이 갈 수 있는 몇 안되는 돌봄시설입니다.

그런데 강원도 전체를 통틀어 24곳 뿐입니다.

그나마 원주에 4곳이 몰려있고 나머지 시군은 한두 곳에 불과합니다.

정선에는 아예 없습니다.

운영을 맡을 곳이 없기 때문입니다.

활동센터가 있다해도 거리가 먼 데다 학대 걱정도 있어 못보내는 가정도 적지 않습니다.

[박정숙/강원도장애인부모연대 회장 : "지리적인 특성상 면적이 너무 넓어요. 소규모로 설치를 해야하는데 현재 그게 안 되니까. 서비스 확대가 안 되니까 더욱 신청을 못 하는거죠."]

자녀보다 하루만 더 살고 싶다"는 장애인 가족들의 삶의 무게.

사회가 나누어 지기에는 아직도 한없이 무겁기만 합니다.

KBS 뉴스 이청초입니다.

촬영기자:김남범
https://news.kbs.co.kr/special/danuri/2022/intro.html

이청초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