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산불 진화용 ‘임도’ 대폭 늘린다

윤희일 기자 2023. 3. 15. 21:4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매년 임도 500㎞ 확충 계획

지난 11일 경남 하동 지리산국립공원 자락에서 산불이 발생했다. 하지만 산불진화용 임산 도로인 ‘임도’(林道)가 없어 진화 인력의 투입이 어려웠다. 이날 산불은 약 91㏊ 산림과 민가 3동을 태우고 22시간40분 만에 때마침 내린 비 덕분에 꺼졌다.

반대 사례도 있다. 지난 8일 경남 합천에서 발생한 산불은 초기 강한 바람을 타고 급속히 확산했다. 하지만 야간에 임도를 통해 인력이 들어가 밤샘 진화작업을 벌인 결과 일몰 시 10%에 불과하던 진화율을 다음날 오전 5시 92%까지 끌어올릴 수 있었다.

산림청은 현재 332㎞ 수준인 산불진화용 임도를 매년 500㎞ 이상씩 늘려 2027년까지 3207㎞까지 확충하기로 했다고 15일 밝혔다. 임도 500㎞를 놓기 위해 6262억원의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산림청은 추산하고 있다.

산림청은 또 산불진화용 임도를 국유림에만 설치했지만 앞으로는 공유림과 사유림에도 설치하기로 했다. 산불진화용 임도 폭도 3.5m로 일반임도(3m)에 비해 50㎝ 이상 넓히기로 했다.

산림청 관계자는 “지난해와 올해 대형산불을 잇달아 겪으면서 산불 진화에 임도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절감했다”면서 “임도가 있는 경우 진화 인력과 장비가 현장에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조기에 진화할 수 있지만, 임도가 없는 지역은 인력 진입이 어려워 산불 진화가 더뎌지고 결국 산불이 커지는 게 현실”이라고 했다.

윤희일 선임기자 yhi@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