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년 만에 '삼성' 로고 넣는 日 '갤럭시'…지난해 '샤프' 제치고 2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삼성전자(005930)가 지난해 일본 스마트폰 시장에서 '샤프'를 제치고 2위에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감이 붙은 삼성은 8년 만에 일본 시장에서 갤럭시 로고 대신 다시 삼성 로고를 넣고 '갤럭시S23' 판매에 나선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SA)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일본 스마트폰 시장에서 삼성전자는 10.5% 점유율로 2위에 올랐다.
지난해 삼성전자와 샤프의 일본 시장 점유율은 각각 9.7%, 10%였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日서 8년 만에 '갤럭시' 대신 다시 '삼성'으로
(서울=뉴스1) 이기범 기자 = 삼성전자(005930)가 지난해 일본 스마트폰 시장에서 '샤프'를 제치고 2위에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2위 자리를 내준 뒤 1년 만이다. 자신감이 붙은 삼성은 8년 만에 일본 시장에서 갤럭시 로고 대신 다시 삼성 로고를 넣고 '갤럭시S23' 판매에 나선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SA)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일본 스마트폰 시장에서 삼성전자는 10.5% 점유율로 2위에 올랐다. 3위 샤프(10.1%)와는 0.4%포인트(p) 격차다. 출하량은 약 290만대로 집계된다. 지난해 일본 시장 전체 스마트폰 출하량은 2740만대다.
삼성전자는 2020년 10.1% 점유율로 2위에 올랐지만, 이후 샤프에 자리를 내줬다. 지난해 삼성전자와 샤프의 일본 시장 점유율은 각각 9.7%, 10%였다.
1위는 부동의 애플로 56.1%를 차지했다. 애플의 일본 점유율은 2020년 61%, 2021년 60%에서 소폭 하락세에 있다. 지난해 4위와 5위는 각각 소니(7.3%)와 중국 오포(3.4%)가 차지했다.
애플을 제외한 해외 스마트폰에 배타적인 일본 시장에서 고무적인 성과다.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달 28일 일본 현지 모바일 브랜드명을 '갤럭시'에서 '삼성'으로 바꿨다. 삼성전자는 지난 2015년 '갤럭시S6' 출시 때부터 삼성을 지우고 갤럭시 로고를 넣어왔다. 이에 따라 내달 일본에 출시되는 '갤럭시S23' 시리즈에는 8년 만에 삼성 로고가 들어갈 예정이다.
이에 대해 삼성전자 관계자는 "일본에서 갤럭시 브랜드의 인지도가 많이 올라왔다"며 "삼성이란 브랜드를 일원화해 글로벌 마케팅에 본격 드라이브를 넣으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Ktig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유튜브 쇼츠에 한눈 팔린 버스기사…영상 휙휙 넘기느라 '한손 운전'[영상]
- 횡단보도 파란불서 질주한 오토바이…보행자에 발길질 '휙휙'[영상]
- "스벅서 개인 칸막이 친 빌런…1500원 바나나 산 뒤 3시간 자리 차지"
- "드레스 입던 나, 왜 누워있어?" 80대 몰던 차에 치인 예비신부, 휠체어 신세
- 13세 제자와 성관계한 30대 여교사…교도소서 '에어로빅 강사' 됐다
- "애 둘 유부남, 술집 상간녀와 3년간 두집살림"…강남 현수막에 '시끌'
- '살빠진' 구준엽, 故서희원 못잊어 거처도 무덤 근처로 옮긴다? '대만발 이사설'
- 결식아동 급식카드 뺏어먹은 학생들…분노한 사장 "6년 무상식사 선행 중단"
- 남자친구 묶어놓고 20대女 집단성폭행…인도에서 또 끔찍 참사
- 최강희 "문해력 검사, 중학교 수준" 반전 고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