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위성의 심장' 고전력 전기추력기 국산화 성공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원자력연구원 핵물리응용연구부 채길병 박사팀이 국내 최초로 10㎾급 고전력 전기추력기를 개발했다.
연구진은 4년간에 걸친 연구개발(R&D) 끝에 만들어진 10㎾급 고전력 전기추력기의 성능을 검증했다.
연구진은 "현재 실험실 규모에서 기술의 주요 성능 및 특성이 입증된 단계로서, 향후 10㎾ 이상의 고전력 전기추력기를 개발해 60㎥ 이상 대형 진공챔버를 통해 성능을 검증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5일 원자력연구원에 따르면 전기추력기란 전기에너지를 이용해 연료를 가열, 가속한 뒤 노즐로 분사하여 추진력을 얻는 장치다. 전기추력기는 기존의 화학식 추력기에 비해 추진력은 낮지만 연비가 월등히 높아 연료 무게를 줄이고 탑재체 무게를 늘릴 수 있다.
특히 10~100㎾ 고전력 전기추력기 기술은 아직까지 미국과 유럽, 일본 등 우주기술 선진국만이 보유하고 있다. 이 전기추력기는 국제무기거래규정(ITAR)에 의해 관련 기술 또는 물자의 이전이 통제받고 있다.
연구진은 4년간에 걸친 연구개발(R&D) 끝에 만들어진 10㎾급 고전력 전기추력기의 성능을 검증했다. 극저온, 진공의 우주 환경과 유사한 조건을 갖춘 2.6㎥ 크기의 진공챔버에서 성능을 평가한 결과 200mN의 추진력이 발생했다. 1mN은 0.1g의 물체를 들어올리는 힘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번에 개발한 추력기는 20g을 들어올릴 수 있는 힘을 갖고 있다.
우주기술 선진국의 10㎾급 전기추력기 추진력은 300~600mN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연구진은 "현재 실험실 규모에서 기술의 주요 성능 및 특성이 입증된 단계로서, 향후 10㎾ 이상의 고전력 전기추력기를 개발해 60㎥ 이상 대형 진공챔버를 통해 성능을 검증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갑상선암 투병' 진태현 "남은 시간 ♥박시은에 더 집중"
- 미혼 장희진, '9세 연상 이혼남' 서장훈에 플러팅 "재혼남 더 좋아"
- 연이어 사망한 신혼부부…아내 유서에 '꼭 잡아달라' 범인은
- '판빙빙 닮은 꼴' 北 출신 김아라 "북한선 미인 아냐"
- '박수홍♥' 김다예, 90㎏서 30㎏ 감량 근황…물오른 미모 [N샷]
- "李 장남 결혼, 비공개라며 계좌는 왜 퍼졌냐"..나경원 "축의금 거부 어려워" 비판
- 남편이 무정자증인데 아내가 임신?…불륜인가 오진인가
- 김인석, 고액 스폰서 제안 폭로 "VIP가 5천 준다고"
- 박영규, 25세연하 네번째 부인 공개…20대인 줄
- "12월 3일에 만났으면"….'블랙 출신' 홍장원, 김어준에게 건넨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