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9천억 투매…SVB 여진에 국내시장도 '출렁'

김정우 기자 2023. 3. 14. 20:1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어제(13일)는 비교적 잠잠했던 우리 금융시장도 오늘은 크게 출렁였습니다.

외국인들이 주식을 9천억 원가량 팔면서 주가가 많이 떨어졌고, 원·달러 환율도 10원 가까이 올랐습니다.

두 시장에서 외국인은 8천800억 원, 기관은 2천400억 원어치 주식을 팔아치웠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어제(13일)는 비교적 잠잠했던 우리 금융시장도 오늘은 크게 출렁였습니다. 외국인들이 주식을 9천억 원가량 팔면서 주가가 많이 떨어졌고, 원·달러 환율도 10원 가까이 올랐습니다.

김정우 기자가 취재한 내용 먼저 보시고, 이 내용 더 짚어보겠습니다.

<기자>

실리콘밸리 은행 파산에도 선방했던 우리 금융시장은 하루 만에 약세로 돌아섰습니다.

장중 낙폭을 계속 키워 코스피는 2.56% 떨어지며 6개월 만에 가장 큰 하락폭을 보였습니다.

스타트업에 특화된 실리콘밸리 은행의 파산으로 벤처기업 자금난이 우려되면서, 코스닥은 4% 가까이 급락해 더 큰 타격을 받았습니다.

외국인 투자자가 투매에 가까운 매도를 보였습니다.

두 시장에서 외국인은 8천800억 원, 기관은 2천400억 원어치 주식을 팔아치웠습니다.

미국 지방 은행의 연쇄 파산 등 이번 사태의 파장이 어디까지일지 모른다는 게 투자 불안감을 키웠습니다.

[박상현/하이투자증권 연구원 : 연준이 금리 인상 사이클과 관련된 조금 더 명확한 시그널을 주면서 시장 안정을 찾아주길 원했는데 그러한 것들이 명확하게 나오지 않으면서 시장이 아직은 불안한 모습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미국뿐만 아니라 유럽 증시와 투자은행 쪽 분위기가 좋지 않은 것도 일부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입니다.

안전자산 선호 현상에 전날 내렸던 원·달러 환율은 10원 가까이 올라 1,310원대를 넘어섰습니다.

[황세운/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 : 국채와 같은 무위험자산 그리고 달러화와 같은 국제적인 안전 자산으로 수요가 몰릴 수밖에 없는 상황인 거고요. 미국 국채 같은 경우에는 지금 가격이 많이 상승하고 있는 모습이 실제로 나타나고 있죠.]

정부는 시장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필요시 안정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 배문산, 영상편집 : 위원양)

---

<앵커>

경제부 김정우 기자 나와 있습니다.

Q. 미국 기준금리 전망은?

[김정우 기자 : 일주일 전만 해도 미국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올릴 거라는 전망은 80% 가까이 됐는데요. 실리콘밸리 은행이 망하자 0%, 아예 사라졌습니다. 대신 기준금리를 동결할 거라는 그동안 없던 의견이 25% 가까이 뛰었습니다. 그동안 미국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너무 빨리 높게 올리다 보니까 이런 사태가 생겼으니까 앞으로는 기준금리를 덜 올리겠지, 이런 기대감이 시장에 퍼져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당장 오늘 밤에 미국 2월 소비자물가지수가 발표됩니다. 전망치는 6.1%로 1월보다는 조금 낮은데요. 그럼에도 미국 중앙은행이 기준금리 긴축 기조를 꺾지 않을 거다 이런 불안감이 퍼져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Q. 유럽 최대 투자은행 위기설은?

[김정우 기자 : 네, 지금 시장에서는 유럽 최대 투자 은행인 ;크레디트 스위스'가 위험할 수 있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지난해 잇단 투자 손실로 순손실이 10조 원을 넘어섰고 최근에는 연간 감사보고서에서 중대한 오류가 발견됐다는 소식까지 들려오고 있습니다. 이런 악재들이 겹치면서 간밤에 주가가 10% 가까이 폭락했고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더 중요한 것은 크레디트 스위스는 가상자산 비중이 높은데 이번에 가상자산을 주로 취급하는 미국 시그니처 은행이 문을 닫으면서 불안감이 동시에 커지고 있습니다.]

Q. 국내 은행 취약점 없나?

[김정우 기자 : 국내에서 자금이 조금 몰려 있고 부실 위험이 있는 거로는 부동산 PF 대출 비중이 높은 제2금융권입니다. 지난해 비은행권 PF대출 잔액이 85조 8천억 원까지 뛰었습니다. 이 가운데 저축은행 비중이 50%로 급증했는데요. 사실 이런 고금리 기준금리 인상 시기에 부동산 시장이 흔들리면 자칫 부실의 내간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금융당국도 현재 주시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 바이든 나서도 불안…"6개 은행 신용등급 하향 검토"
[ 원문 링크 : https://news.sbs.co.kr/d/?id=N1007114512 ]

김정우 기자fact8@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