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연구팀, 암세포 결합력 900배 높인 단백질 조립체 개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연구진이 정상 세포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암세포에만 약물을 전달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KAIST는 김학성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팀이 암세포에 특이적으로 약물을 전달할 수 있는 클라트린 조립체를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연구팀은 대표적인 종양 표지자인 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EGFR)를 인식하는 단백질을 사용해 암세포에 특이적으로 약물을 전달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연구진이 정상 세포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암세포에만 약물을 전달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KAIST는 김학성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팀이 암세포에 특이적으로 약물을 전달할 수 있는 클라트린 조립체를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암을 부작용 없이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약물을 암세포에만 전달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 때 사용되는 게 단백질로 구성돼 있는 단백질 조립체다.
단백질 조립체의 성능은 암세포를 인식하는 단백질과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약물을 단백질 조립체에 효과적으로 접합시키는 기술에 달려 있다. 지금 나와 있는 단백질 조립체는 대부분 이런 기능화 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효율이 낮고, 작은 크기의 화학 약물에만 적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KAIST 연구팀은 생체 내 클라트린이라는 단백질 조립체를 이용해 새로운 단백질 전달체를 개발했다. 암세포에 특이적으로 약물을 전달하기 위해 암세포 인식 단백질과 독소 단백질의 기능화가 용이하도록 클라트린 사슬을 설계하는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대표적인 종양 표지자인 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EGFR)를 인식하는 단백질을 사용해 암세포에 특이적으로 약물을 전달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연구팀이 개발한 클라트린 조립체는 기존보다 약 900배 이상 결합력이 높았다.
이번 연구 결과가 담긴 논문의 제1 저자인 김홍식 박사는 “클라트린은 기능화가 어렵고 포유류의 세포로부터 추출해서 얻었기 때문에 실질적인 적용이 제한됐다”며 “이번 연구에서 새로 설계한 클라트린 조립체는 한 번의 반응으로 서로 다른 두 종류의 단백질로 기능화할 수 있고, 대장균에서 생산 가능하여, 생물 의학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는 단백질 조립체 응용 기술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 2월 22일 국제 학술지 스몰(Small)에 실렸다.
참고자료
Small, DOI : https://doi.org/10.1002/smll.202204620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 민희진이 사주한 ‘직장 내 괴롭힘’ 신고...고용부, 하이브 무혐의 결론
- 美 수주 행진에 구리 값 들썩… 구자은 LS 회장, 이유 있는 자신감
- 안덕근 “韓·美 에너지 협력 문제 모두 풀었다”… 체코 원전 최종 계약 ‘청신호’ 켜지나
- [빈 집 쇼크]⑤ “월 단돈 1만원에 거주” 빈 집 대책 쏟아지지만... 아직은 시범사업 수준
- 고려아연서 황산 처리 못하는 영풍, 생산 차질 우려
- [지역화폐 현주소]① 성남 주민 700억 혜택 볼 때 과천은 50억… 부자동네만 배불린다
- [테크톡톡] 젠슨 황이 “완전 반했다”는 ‘나만의 AI 수퍼컴퓨터’ 뭐길래
- '5피트 규칙' 지켰더라면… LA 산불 키운 세 가지 원인은
- [1% 저성장 시대 新유통]⑤ 20달러 이하만 팝니다... 美아마존이 초저가 쇼핑 ‘하울’ 내놓은 까
- “어쩐지 싸더라”… 해외직구로 산 ‘크록스’ 알고보니 전부 짝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