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로 가면 부산 바다에 잠긴다"…최악의 시나리오

장지민 2023. 3. 9. 20:3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기후변화로 한국 해수면이 2100년까지 최대 82㎝ 상승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연구 결과 고탄소 시나리오(SSP 5-8.5)에서 국내 해수면 높이는 2050년 최대 25㎝, 2100년 최대 82㎝ 상승했다.

연구 결과를 보면 온실가스 배출량이 줄어든 저탄소 시나리오에서도 국내 해수면 높이는 2050년 20㎝, 2100년 47㎝ 상승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주변 해수면, 2100년엔 무려 82cm 높아질 수도
일부 국내 연안 침수 우려 제기
사진=연합뉴스


기후변화로 한국 해수면이 2100년까지 최대 82㎝ 상승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해수면 상승 여파로 일부 국내 연안이 침수될 수 있다는 우려마저 나오고 있다.

9일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은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해양조사원이 조양기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동해·황해 등 국내 주변 해역의 평균 해수면 상승 폭을 분석한 결과다.

오현주 해양조사원 해양과학조사연구실장은 “국내 해양기후 수치예측모델에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제6차 보고서에 담긴 새로운 기후변화 시나리오(SPP)를 적용했다”고 밝혔다.

해양수산부 제공


SSP는 온실가스 배출량은 물론 인구 등 경제구조 변수까지 고려한 시나리오다. 연구 결과 고탄소 시나리오(SSP 5-8.5)에서 국내 해수면 높이는 2050년 최대 25㎝, 2100년 최대 82㎝ 상승했다. 석유·석탄 등 화석연료 이용률이 지금과 같은 수준을 유지하고 도시 중심의 무분별한 개발이 확대될 것이라고 전제한 게 고탄소 시나리오다. 최악의 경우 국내 해역 해수면이 2100년까지 82㎝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저탄소 시나리오(SSP 1-2.6)에서도 해수면 상승은 불가피했다. 저탄소 시나리오는 재생에너지 기술 발전으로 화석연료 이용률을 최소화하는 등 친환경적인 경제성장이 이뤄질 경우다. 연구 결과를 보면 온실가스 배출량이 줄어든 저탄소 시나리오에서도 국내 해수면 높이는 2050년 20㎝, 2100년 47㎝ 상승했다.

또 모든 시나리오에서 동해 해수면 연평균 상승률이 황해보다 높았다. 구체적으로 동해 해수면은 고탄소 시나리오에서 9.56㎜, 저탄소 시나리오에서 5.49㎜ 상승했다. 황해의 경우 고탄소와 저탄소 시나리오별 상승률이 각각 9.39㎜, 5.33㎜를 기록했다.

이번 전망치는 2년 전 분석보다 악화된 수치다. 앞서 해양조사원은 2021년 IPCC 5차 기후변화 시나리오(RCP 8.5)를 적용해 국내 해수면 상승 폭을 분석한 바 있다. 당시 국내 해수면은 2100년 최대 73㎝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불과 2년 새 해수면 상승 폭 전망치가 9㎝ 오른 셈이다. 실제 이번 분석은 기후변화로 점차 빨라지고 있는 해수면 상승 속도를 보여준다는 게 해양조사원의 설명이다.

국내 해안도시 침수 우려도 제기된다. 김백민 부경대 환경대기과학과 교수는 “(해수면) 82㎝ 상승은 심각한 수준으로 봐야 한다”며 “해수면 수위가 80㎝에서 1m 상승하면 부산 해운대 등 상당수 해안가 도시가 침수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기후변화로 발생 빈도가 늘고 있는 태풍·해일 등 자연재해가 겹치면 심각한 문제로 이어질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해양조사원은 향후 연안재해취약성 평가에 이번 연구 결과를 반영할 방침이다. 연안재해취약성 평가에 해수면 상승 전망치를 반영하면 보다 정확하게 침수 피해를 예측할 수 있다. 이철조 해양조사원 원장은 “이번 전망치 발표를 전국 항만과 연안 지역의 연안재해취약성 평가 및 침수예상도 작성 등에 전면 반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지민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

해외투자 '한경 글로벌마켓'과 함께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