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서울 부동산 허위신고 5건 중 1건 '강남구'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5년 사이 서울에서 발생한 부동산 허위신고 5건 중 1건은 강남구인 것으로 조사됐다.
7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더불어민주당·비례대표) 의원이 서울시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 동안 부동산 허위신고는 583건으로 이 중 강남구는 17.7%인 103건으로 나타났다.
전체 583건 중 약 25%(146건)는 동일인이 과태료를 받은 것으로, 관악구에 사는 한 사람이 9번의 허위신고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7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더불어민주당·비례대표) 의원이 서울시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 동안 부동산 허위신고는 583건으로 이 중 강남구는 17.7%인 103건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허위신고는 시세 조작, 대출한도 상향, 탈세 등 목적으로 실제 거래가격을 허위로 신고하는 경우와 지연 신고 등 계약 일자를 거짓 신고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허위 신고 과태료 부과 금액은 전체 138억3000만원 중 37억7000만원이 강남구에 부과됐다. 강남구 역삼동에서 150억원 거래를 13억7000여만원으로 낮게 신고해 과태료 4억원이 부과된 사례도 있었다.
강남구 다음으로 ▲동작구 62건(24억5000만원) ▲서대문구 43건(5억2600만원) ▲강서구 43건(5억500만원) ▲송파구 41건(8억6600만원) 순으로 이어졌다.
전체 583건 중 약 25%(146건)는 동일인이 과태료를 받은 것으로, 관악구에 사는 한 사람이 9번의 허위신고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양 의원은 "부동산 허위신고는 해당 부동산 매매에 따라붙는 세금을 회피하거나 줄이려는 목적으로 행하는 경우가 많다"며 "정직하게 부동산을 매매한 시민들에게 피해를 주고 시장 질서를 교란하는 행위인 만큼 철저한 조사와 함께 재발 방지를 위한 강력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신유진 기자 yujinS@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신혼여행에 신부 친여동생 동반한 사연… 네티즌 찬·반 갑론을박 - 머니S
- "임영웅 참 좋더라"… 조승우, 5000만원 스피커로 트로트를? - 머니S
- 유지태 맞아?… 100㎏벌크업 근황 '깜짝' - 머니S
- "포장박스 5개 실화야?" 택배쓰레기 해결방법 없나요 [Z시세] - 머니S
- "일본에 약점 잡혔나"… '강제동원 해법'에 분노한 국민 - 머니S
- "이 XX 완전 변했네?"… 미나, ♥류필립에 발끈한 이유 - 머니S
- "청년수당 월 50만원 준다" 9일부터 신청… 조건은? - 머니S
- '서프라이즈 김태희' 김하영 생활고… "빚만 2000만원" - 머니S
- 영화 기생충처럼… 홍콩 모델, 빌붙던 전 남편·시댁 식구가 살해 - 머니S
- "장난해?"… 주 69시간 일하고 장기휴가에 직장인 '부글' - 머니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