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감사보고서 31일 마감…상장사 60곳 퇴출 '빨간불'

윤선희 2023. 3. 5. 09:0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상장사 (PG) [장현경 제작] 일러스트

(서울=연합뉴스) 윤선희 송은경 기자 = 12월 결산 상장사들의 정기 주주총회 시즌을 앞두고 60개 상장사가 2022회계연도 결산 결과 증시 상장폐지 위험에 놓였다.

외부감사인으로부터 비적정 감사의견을 받으면 퇴출 대상에 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주식투자자들은 상장사들이 오는 31일까지 제출하는 2022회계연도 사업·감사보고서를 통해 기업의 실적과 재무 상태를 꼼꼼하게 살펴보고 투자 종목의 옥석을 가려야 한다.

상장사 60곳 퇴출 위험…이달 31일까지 사업보고서 제출

5일 한국거래소 상장공시시스템(KIND)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코스피)과 코스닥시장 관리종목 각각 12개와 55개 중에서 2022회계연도 감사의견이 상장유지 결정에 중요 변수가 될 상장사는 6개와 54개로 집계됐다.

이들 중 상당수는 거래가 정지된 상태다.

유가증권시장 내 6개 관리종목을 보면 일정실업은 감사범위 제한으로 인한 감사의견 한정을 받아 관리종목에 지정됐다. 비케이탑스, 쌍용차, 선도전기, 쎌마테라퓨틱스, 하이트론 등의 상장사는 반기 검토의견으로 의견거절을 받았다.

코스닥 관리종목 대다수는 비적정 감사의견이나 횡령·배임, 지속적인 적자, 자본잠식 등으로 이미 상장폐지 사유가 발생했거나 상장 적격성 실질심사 대상으로 분류됐다.

코스닥 관리종목 54곳 중 상장폐지 사유가 발생한 곳은 31곳이다. 상장 적격성 실질심사 대상으로 결정된 상장사는 23곳이다.

전체 54곳 중에서 상장폐지 사유가 발생했거나 상장 적격성 실질심사 대상으로 결정된 법인은 44곳이다.

코오롱생명과학과 코오롱티슈진은 최근 3사업연도 중에서 2사업연도에 자기자본의 50%를 초과하는 계속사업 손실(법인세 비용 차감 전)이 발생해 관리종목에 지정됐다.

재무상태가 부실한 관리종목의 퇴출 여부를 가리는 데는 2022회계연도 감사의견이 결정적인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거래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상장폐지 기업 171개사 중 결산 관련 상장폐지 기업이 48개사로 28.1%를 차지했다.

5년간 결산 관련 상장폐지 사유 중에는 '감사의견 비적정'(91.7%)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그다음으로는 사업보고서 미제출(8.3%)이었다.

상장사들은 자본시장법상 사업연도 종료 후 90일(3월 31일)까지 사업보고서와 감사보고서를 금융감독원과 한국거래소에 제출해야 한다.

상법 시행령은 상장사들이 사업보고서와 감사보고서를 정기 주주총회 일주일 전까지 제출하도록 했다.

'비적정 감사의견' 받으면 퇴출 사유…상장폐지 절차는

거래소는 작년 결산 결과 감사의견 '비적정' 기업에 대해서는 적절한 시장 조치를 취할 계획이다.

실제 외부감사인인 회계법인으로부터 감사보고서상 감사의견으로 비적정 의견을 받은 상장사는 일단 형식적인 퇴출 사유가 발생한 대상으로 분류된다.

'비적정' 감사의견은 의견거절, 부적정, 한정 등 세 종류로 나뉜다.

그러나 코스피와 코스닥시장 상장사들은 상장폐지 대상이 되더라도 바로 증시에서 퇴출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거래소는 작년 12월 기업 회생 가능성을 고려해 퇴출 기준을 고쳐 재무 관련 형식적 상장폐지 사유를 상장 적격성 실질 심사 사유로 전환하고, 정기보고서 미제출로 인한 상장폐지 사유가 발생한 업체에는 이의신청을 허용하고 사유 해소 기회를 부여하기로 했다.

작년 결산 결과 감사인으로부터 의견거절 등 비적정 감사의견을 받아 형식적 퇴출 사유가 발생한 상장사는 일단 이의신청을 할 수 있다.

상장폐지 사유가 발생한 상장사에 거래소가 해당 사실을 통보·공시하면 해당 기업은 15일 이내 이의신청을 할 수 있다.

거래소는 이후 20일 이내에 상장위원회 심의를 거쳐 상장폐지 또는 개선기간 부여(1년 이내)를 결정하고, 추후 상장위원회를 열어 개선 계획 이행 여부 심의를 한 뒤 최종 상장폐지 여부를 가린다.

거래소는 주식 투자자들이 결산 시기에 예상치 못한 투자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만큼 경영 안정성이 미흡하거나 재무 상태가 악화한 기업 투자에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위험 코스피 관리종목 현황

위험 코스닥 관리종목 현황

※ 자료: 한국거래소

indigo@yna.co.kr, norae@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