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식이라더니 ‘자위 방지’가 목적?··· 단골 아침메뉴의 두 얼굴 [사색(史色)]
[사색-11] “막아야 해...반드시...그들의 ‘자위행위’를.”
1877년 미국 미시간주의 한 요양원. 말쑥하게 생긴 한 젊은 의사가 깊은 고민에 빠져 있습니다. 환자들의 ‘은밀한 손장난’(?)을 막을 방법을 고안하는 데 무딘 애를 쓰고 있었던 것이었습니다.
우리에게도 익숙한 시리얼의 일종 콘플레이크의 시작입니다. 이를 개발한 젊은 의사의 이름은 존 하비 켈로그. “호랑이 힘이 솟아난다”는 콘플레이크의 시작이 “자위행위를 막아야 한다”는 켈로그의 ‘숭고한’(?) 목적에서 시작된 셈입니다.
젊은 의사 존 하비 켈로그가 ‘엉뚱한’ 자위혐오자인 건 아니었습니다. 당시 미국에서 성욕과 식욕이 건강을 해친다는 생각은 점점 인기를 얻는 보편적 생각이었기 때문입니다.
템퍼런스 무브먼트 초기는 알코올 절제 운동에서부터 시작됩니다. 이 운동이 힘을 얻으면서 점차 성욕, 육식 등 많은 쾌락들이 교정의 대상으로 여겨지기 시작합니다. 알코올 절제, 매춘 근절, 육식 자제까지 나아가는 범 탐욕 자제 운동이었지요.
특히 종교계가 ‘템퍼런스 무브먼트’를 주도 했는데,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가 대표적이었습니다. 이들은 종교적 신념에 맞춰 육식을 배제하는 채식주의를 내세웠습니다. 존 하비 켈로그 역시 이 종파의 신자였지요.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가 세운 배틀크릭 요양소의 대표 관리인으로 근무한 그가 쾌락의 대표적인 양태인 ‘육식’과 ‘자위행위’를 혐오한 건 당연한 수순이었습니다.
존 하비 켈로그가 ‘식단 개혁’을 외친 미국 최초의 선구자는 아니었습니다. 앞서 ‘신앙인 다운 식사’를 고안한 이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장로교 목사였던 실베스터 그레이엄이 주인공입니다. 굵게 빻은 밀로 만든 빵과 오직 채소만을 먹는 것이 하나님이 의도하신 방식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는 항상 성경을 삶의 나침반으로 삼았습니다. 특히 창세기 1장 29절 “하나님이 이르시되 내가 온 지면의 씨 맺는 모든 채소와 씨 가진 열매 맺는 모든 나무를 너희에게 주노니 너희의 먹을 거리가 되리라”의 말씀은 깊이 새겼지요. 채식은 죄짓지 않은 에덴동산의 인간들이 먹는 음식으로 여겼던 것이었습니다. 신약성경에서 예수님이 드신 것 역시 생선이었다는 점도 그의 채식주의에 힘을 더했습니다.
마침 1829년부터 콜레라 전염병이 유행하면서 사람들이 ‘신의 식단’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고 이 크래커 역시 전 미국에서 인기를 얻기 시작했습니다. 어리석은 인간은 언제나 아픈 뒤에야 신을 찾는 법이었지요. 영양학자 제임스 케일럽 잭슨은 이에 감화받아 최초의 시리얼인 그래뉼라(Granula)도 개발했습니다.
켈로그는 그레이엄의 신앙을 계승합니다. 종교에 심취한 그는 자위행위를 혐오했습니다. 아담 클라크 박사의 ‘자위혐오론’을 외고 살았지요. 그에게 자위는 어떤 전염병보다 끔찍한 것이었습니다. (심지어 부인과도 각방을 쓸 정도로 ‘성관계’도 싫어했지요.)
대표 저서인 ‘젊은이와 늙은이를 위한 자명한 사실들 (The plain facts for Old and Young)’에는 자위에 대한 비과학적인 주장들이 가득합니다. 한 대목을 살펴볼까요.
“배뇨하는 것을 참아서는 안 된다. 이 규칙을 지키지 않으면 방광에 염증이 생기고, 그 결과로 비정상적인 흥분을 유도해 나쁜 습관(수음)을 갖게 된다.”
또 수술을 혐오했던 그는 포경 수술만은 옹호했는데요, 이 역시 자위를 예방하는 수단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었습니다. 자위를 자주 하는 남성들에게 포경수술을 추천할 정도였지요. 자위와의 전쟁에서 최전방에 선 전사였던 셈입니다.
1894년 어느 날이었습니다. 어느 날 켈로그가 잠시 자리를 비운 사이 요리하던 밀반죽이 과하게 숙성됩니다. 이게 버리기 아까웠던 존 하비 켈로그는 동생인 윌 켈로그와 함께 이를 뜨거운 롤러에 밀어서 재활용을 시도합니다. 이게 웬걸. 반죽이 플레이크 형태로 떨어져 나오면서 바삭하고 고소한 음식이 된 것이었습니다.
형제는더 많은 실험 끝에 옥수수 반죽을 활용한 ‘콘플레이크’를 개발했지요. (여기서 TMI, 이때는 우유에 말아 먹지 않았다고 합니다. 당시 생우유가 위생적으로 위험한 식품이라고 여겨졌기 때문입니다.)
켈로그는 이후로 ’시리얼의 왕‘으로 큰 부자가 되었을까요. 그렇지 않았습니다. 시련이 그를 찾아옵니다. 요양원의 환자였던 한 남자가 이를 맛보고 먼저 시장에 판매하기 시작한 것이었습니다. 이 사내의 이름은 C.W. 포스트. 우리가 아는 시리얼 대표 브랜드 설립자였습니다.
그리고 1897년, 그레이프 너츠라는 제품을 대량 생산해 큰 성공을 거둡니요. 켈로그 형제의 콘플레이크를 표절한 것이었지만, 대중들은 속 사정을 알 리가 없었습니다.
결국 존 하비 켈로그는 동생의 제안을 끝까지 거절합니다. 화가 머리 끝까지 난 동생 윌 켈로그는 홀로 배틀크릭 토스트 콘플레이크 회사를 설립했습니다. 1906월 9월의 일이었지요. 형 존은 동생 윌의 회사에 소송을 제기합니다. 1920년 결국 법원이 윌의 손을 들어줍니다. 재주는 곰이 부리고, 돈은 애먼 사람이 벌었던 셈입니다.
주말 아침, 여러분의 식탁은 어떤가요. 노릇노릇 구운 식빵에 땅콩버터를 바르고, 시리얼을 우유와 함께 즐기고 계신건 아니신지. 어쩌면 식사 후에 당신은 좀 더 경건한 사람이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럼에도 발명자의 본 본뜻 과는 달리 “호랑이 기운”을 내어 보시길. 주말만큼은 배우자의 실망한 표정을 보고 싶지 않은 법이니까요.
ㅇ세계인이 사랑하는 아침 식사 콘플레이크는 ‘금욕주의자’ 존 하비 켈로그가 만들었다.
ㅇ그는 곡물로 된 이 음식이 ‘자위’를 방지하고 속을 편안히 해줄 거라고 믿었다.
ㅇ당시 미국에서는 금욕주의적 음식 열풍이 불었다. 그레이엄 크래커 역시 이 중 하나였다.
ㅇ존 하비 켈로그의 ‘콘플레이크’로 돈을 번 건 그의 환자 포스트와 동생 윌 켈로그였다.
<참고 문헌>
ㅇ리처드 작스, 발가 벗기는 역사, 고려문화사, 1994년
ㅇ이병주, 에로스문화탐사, 생각의나무, 2002년
ㅇ존 하비 켈로그, Plain Facts for Old and Young, 1877년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단독] 카카오 오늘 저녁 긴급이사회 개최...SM 공개매수 하나 - 매일경제
- 2년전엔 완판에 웃돈까지 붙었는데 … 이젠 너도나도 '손사래' - 매일경제
- ‘3.1절 일장기’ 건 세종 시민 “유관순이 실존 인물이냐” - 매일경제
- 오징어 명태 고등어 최대 50% 할인…6일부터 ‘수산대전’ - 매일경제
- “여성 1만명과 성관계, 하늘의 명령”…JMS 실체 폭로한 ‘나는 신이다’ - 매일경제
- “10억 떨어져도 평당 8천만원”…한국 집값 뉴욕보다 비싼데, 왜? [매부리레터] - 매일경제
- “올해 집값하락 지속”…전문가들 예상하는 반등 시기 보니 - 매일경제
- 20년간 24㎝ 길어진 쏘렌토…남 시선 의식, 포기못할 車덩치 - 매일경제
- “호텔서 결혼하니 축의금 더 내라” VS “받은만큼 주는 것” - 매일경제
- 결국 투수 놀음? “많이 올라왔다” 레전드 코치들의 호평 [MK오사카]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