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군, 2년간 민간 가옥 5만5천여채 불 질러

이정호 2023. 2. 25. 15:5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쿠데타 후 반군부 세력을 유혈 진압해온 미얀마군이 2년 동안 5만 채가 넘는 민간인 가옥을 불태운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현지 매체 이라와디에 따르면 독립연구단체 데이터 포 미얀마(D4M)는 미얀마군이 쿠데타를 일으킨 2021년 2월 1일부터 지난달 말까지 미얀마 전역에 걸쳐 5만5천484채의 민간인 가옥을 불태운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미얀마 제2의 도시인 만달레이에서도 282채가 소실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얀마군에 의해 전소된 투 지 마을. 2023.2.20. [S&C 홈페이지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양곤[미얀마]=연합뉴스) 이정호 통신원 = 쿠데타 후 반군부 세력을 유혈 진압해온 미얀마군이 2년 동안 5만 채가 넘는 민간인 가옥을 불태운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현지 매체 이라와디에 따르면 독립연구단체 데이터 포 미얀마(D4M)는 미얀마군이 쿠데타를 일으킨 2021년 2월 1일부터 지난달 말까지 미얀마 전역에 걸쳐 5만5천484채의 민간인 가옥을 불태운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미얀마 최대 상업 도시 양곤과 수도 네피도를 제외한 전 지역에서 민간인 주택에 대한 방화가 이뤄졌다. 미얀마 제2의 도시인 만달레이에서도 282채가 소실됐다.

방화가 가장 많이 일어난 지역은 미얀마군과 반군부 세력의 전투가 치열한 중부지방이었다. 사가잉 지역이 총 4만3천292채로 전체 방화의 80%를 차지했고, 마궤 지역이 8천863채로 뒤를 이었다.

지난달 방화 피해를 본 사가잉 지역의 투 지 마을 주민 먀(52) 씨는 "이 지역에서 전투가 전혀 없었음에도 오후에 군대가 급습했다"며 "군대가 온다는 소식에 모두 숲으로 피했는데 텅 빈 마을로 들어와 200여 채를 태우고 가축까지 모두 죽였다"고 전했다.

미얀마 민간 전략정책연구소인 ISP 미얀마는 지난해 12월 14일 기준 미얀마 인구의 약 3%인 200만 명이 난민이 됐다고 발표했다.

쿠데타 이전 실향민이 49만 명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150만 명이 미얀마군의 무력 진압으로 고향을 등진 셈이다.

2021340@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