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년 모은 '보물' 표본들 곰팡이에 '전멸'···서울대 연구실 무슨 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대 생명과학부가 70~80년간 모은 동물 표본 수백점이 2021년 표본실에 창궐한 곰팡이 때문에 모조리 폐기됐다.
임영운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는 이 사건을 다룬 '표본실 진균(곰팡이) 대재앙:수많은 동물의 흔적을 지운 단 일주일'이란 논문을 지난해 12월 미생물학회지에 수록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대 생명과학부가 70~80년간 모은 동물 표본 수백점이 2021년 표본실에 창궐한 곰팡이 때문에 모조리 폐기됐다.
임영운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는 이 사건을 다룬 ‘표본실 진균(곰팡이) 대재앙:수많은 동물의 흔적을 지운 단 일주일’이란 논문을 지난해 12월 미생물학회지에 수록했다.
19일 임 교수와 서울대 진균생태계통학 연구실 등에 따르면 표본들은 2007년 서울대 자연과학대가 위치한 24동의 지하실로 옮겨진 후 담당 교수를 통해 관리돼 왔다. 그러나 2021년 2월 해당 교수가 은퇴하면서 문제가 발생했다. 교수의 은퇴로 연구원들까지 떠나 아무도 온도조절기 이상을 알아차리지 못했기 때문이다.
통상 섭씨 23도, 습도 약 20%로 유지됐던 표본실 온·습도는 2021년 8월 10일 발견 당시엔 섭씨 30도, 습도 70%를 넘어선 상태였다. 높은 온·습도 탓에 방치된 표본실에는 곰팡이가 창궐했다. 당시 상황에 대해 임 교수는 “표본실의 문을 열자 곰팡이 냄새가 강하게 났다”며 “대형 박제들과 플라스틱병들이 층층이 있었는데 모두 검고 흰 곰팡이가 덮인 모습이었다. 습도가 높아 축축했다”고 말했다.
표본실엔 서울대 생명과학부에서 지난 70~80년 간 모은 동물 수백점의 박제 등 표본이 있었다. 특히 연구 가치가 큰 천연기념물 따오기 등 멸종위기종의 박제도 있었는데, 멸종위기종의 경우 우연히 동물의 사체가 발견되기 전까진 새 표본을 만들기 어렵다.
그러나 결국 학교 측은 이 표본들을 전량 폐기했다. 당장 눈에 보이는 곰팡이는 닦아 낼 수 있지만 곰팡이가 어디까지 침투했는지 알기 어렵기 때문이다. 논문에 참여한 김지선 연구원은 “귤의 경우에도 일부분만 곰팡이가 보여도 버려야 하는 것처럼, 곰팡이는 한 곳에서 눈에 보일 정도로 피면 실제로는 전체적으로 퍼져있다고 봐야 한다. 표본실 전체가 곰팡이에 덮여 있었던 만큼 회생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해 모두 처분했다”고 전했다.
또 진균류는 호흡을 통해 폐에 들어가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어 임 교수의 연구팀은 시료 채취 후 전문 업체를 불러 표본실을 청소해야 했다. 임 교수는 “동물 표본은 중요한 기록 자료로 추후에 한반도 생물 주권의 증거로 사용할 수 있고, 유전 공학이 발달하면서 공룡화석에서 DNA를 뽑아 쓰듯이 나중에는 이 표본 속 DNA가 어떻게 쓰일지 모른다”며 “공룡화석은 귀하게 생각하면서 표본은 중시되지 못하는 것이 안타까워 논문을 썼다”고 전했다.
황민주 인턴기자 minchu@sedaily.com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가전값 더 싸질까…미소 짓는 삼성·LG 왜?
- 맥도날드 '감자튀김 통' 훔쳐가는(?) 사람들…이유가 '기가 막혀'
- “나도 처음이야” OT 안 해본 선배가 준비한 OT [4년만에 열린 대학 OT 가보니]
- 악몽 끝나지 않는 튀르키예, 전문가들 '성급한 재건 말라'는데…
- [단독] 은행원들 성과급 손보나…“돈잔치” 비판에 금융권 TF 확대
- 尹 '우주경제 개척자' 간담회인데…가수 윤하가 왜?
- '10% 할인' 선착순 분양에 밤샘 텐트족 떴다…줄서기 웃돈도
- “北, 공군기지 초토화? 웃기지 마” 공군, F-35A 공중급유훈련 첫 공개
- '1600억 상당 마약 밀수'…檢, 일당 3명 구속기소
- 美 이어 日도 “우크라에 55억弗 지원”…푸틴 '뉴스타트 중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