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마을] 평균에 맞춘 물건들이 실패한 이유

이금아 2023. 2. 17. 18:2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940년대 미국 공군의 비행 훈련에서 충돌 사고가 빈번해지자 군 상부에서는 기체 결함이나 오류의 증거를 찾으려 했다.

원인을 밝힐 수 없자 과학을 전공한 길버트 대니얼스 중위가 조종사들과 조종석의 물리적 구조를 파악하는 임무를 맡았다.

그는 좌석, 등받이, 페달, 손잡이 등 조종석의 모든 구조물이 '평균적인' 병사에 맞게 제작됐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조종사들은 어느 정도 평균치에 맞춰 선발됐기 때문에 각 부품의 사양이 대체로 이들에게 적합할 것으로 여겨진 것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다른 몸들을
위한 디자인
사라 헨드렌 지음
조은영 옮김
김영사
308쪽│1만7800원

1940년대 미국 공군의 비행 훈련에서 충돌 사고가 빈번해지자 군 상부에서는 기체 결함이나 오류의 증거를 찾으려 했다. 원인을 밝힐 수 없자 과학을 전공한 길버트 대니얼스 중위가 조종사들과 조종석의 물리적 구조를 파악하는 임무를 맡았다. 그는 좌석, 등받이, 페달, 손잡이 등 조종석의 모든 구조물이 ‘평균적인’ 병사에 맞게 제작됐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조종사들은 어느 정도 평균치에 맞춰 선발됐기 때문에 각 부품의 사양이 대체로 이들에게 적합할 것으로 여겨진 것이다. 대니얼스 중위가 조종사 4063명의 신체를 측정한 결과, 조사 항목 10개에 모두 해당하는 사람은 단 한 명도 없었다. 모든 몸은 다 달랐고, 평균적인 조종사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았다.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에서의 평균은 무엇을 기준으로 삼고 있을까. 사라 헨드렌 미국 올린공과대 교수는 신간 <다른 몸들을 위한 디자인>에서 이런 물음을 던진다. 그는 세상이 재단해놓은 평균을 거부하고, 장애인을 위해 구조물을 바꾸는 디자인 연구가다. 헨드렌은 2010년 미국의 장애인 마크를 바꾸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 나아갈 방향을 스스로 정하는, 더 능동적인 모습으로 디자인했다. 기존 장애인 표지판에 자신이 디자인한 마크를 붙였다. 이는 미국 전역에서 큰 지지를 받았고, 뉴욕시는 그의 디자인으로 장애인 마크를 교체했다.

헨드렌이 장애에 관심을 갖게 된 건 아들이 다운증후군 판정을 받으면서부터다. 장애라는 건 활동할 수 없는 몸의 상태가 아니라 주변 환경과의 단절이라는 걸 깨달았다. 세계보건기구(WHO) 연구에 따르면 2022년 12월 기준 세계 인구의 16%인 13억 명가량이 장애를 갖고 살아간다. 평균이라는 기준으로 설계된 세상에서 거부당한 몸을 가진 사람이 13억 명이나 된다는 얘기다.

장애를 직접 겪기 전에는 잘 보이지 않는다. 평균으로 불리는 것 앞에 얼마나 많은 장애인이 주저하고 있는지. 책을 읽은 뒤 머릿속에 질문 하나가 떠오른다. ‘이 세상은 누구를 위해 지어졌는가?’

이금아 기자 shinebijou@hankyung.com

해외투자 '한경 글로벌마켓'과 함께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