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비 부담 과해" 인하 압박…중간 요금제 도입될까

정연 기자 2023. 2. 17. 07: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통신업계는 3개 회사만 있는 과점 체계로 매년 수조 원대 이익을 올리고 있습니다.

[백래훈/서울 양천구 : 중간 요금제가 있으면 괜찮을 것 같다고는 생각을 하고 있어요. (실제로 100기가 이상 다 쓰세요?) 아니요. 다 못 쓰고 집에서도 와이파이가 있다 보니까 대부분 밖에 있을 때 데이터를 사용하는데, 아무래도 다 사용을 못 하죠.]

통신비 부담이 커지자, 정부는 중간 요금제를 추가로 출시할 것을 이통사들에 강하게 요구하고 있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국내 통신업계는 3개 회사만 있는 과점 체계로 매년 수조 원대 이익을 올리고 있습니다. 그런데, 소비자들의 통신비 부담은 갈수록 늘고 있습니다. 그러자, 정부가 통신사들을 압박하기 시작했습니다.

정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현재 통신 3사 대리점에서 가입 가능한 5G 요금제는 SK텔레콤은 24GB 다음이 110GB, KT와 LG유플러스는 30기가 다음 요금제가 각각 110GB와 150GB입니다.

데이터 사용량이 중간에 있는 소비자들은 선택권이 없는 셈입니다.

그러다 보니, 데이터를 다 쓰지 못해도 훨씬 높은 요금제에 가입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말 기준 국내 5G 이용자 중 데이터 무제한요금제 가입자가 쓴 1인당 월평균 데이터양은 50.4 기가 바이트였습니다.

[백래훈/서울 양천구 : 중간 요금제가 있으면 괜찮을 것 같다고는 생각을 하고 있어요. (실제로 100기가 이상 다 쓰세요?) 아니요. 다 못 쓰고 집에서도 와이파이가 있다 보니까 대부분 밖에 있을 때 데이터를 사용하는데, 아무래도 다 사용을 못 하죠.]

통신비 부담이 커지자, 정부는 중간 요금제를 추가로 출시할 것을 이통사들에 강하게 요구하고 있습니다.

천편일률적인 요금제를 사실상 담합으로 인식하고 있는겁니다.

압박이 거세지자 일단 통신사들은 3월 한 달간 데이터 30GB를 무료로 주겠다는 미봉책을 내놨습니다.

중간요금제에 대해선 "다양한 상품 서비스 출시를 검토 중이다" "이용자의 선택권을 확대하기 위해서 노력 중" 이라는 원론적 입장만 내놨습니다.

[신민수/한양대 경제학과 교수 : 기본적으로 소비자 후생이 높아질 수 있는 (데이터) 용량이 어디까지냐가 제일 중요해요. 용량을 이월시켜준다거나 이런 것도 가능하고요.]

정부는 과점 체제인 통신시장에 진입장벽을 낮춰 제4 이통사 등 신규 사업자를 허용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습니다.

(영상편집 : 김윤성, VJ : 박현우)

정연 기자cykite@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