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는 이런 것[이은화의 미술시간]〈254〉
이은화 미술평론가 2023. 2. 16. 03: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의란 무엇인가? 마이클 샌델 교수가 쓴 세계적인 베스트셀러의 제목이기도 한 이 질문은 고대인들도 했었다.
가난한 청년 화가에게 세상은 만만치 않았겠지만, 제목처럼 정의가 승리한다는 믿음이 있었기에 도전하고 성취할 수 있었다.
어쩌면 이 그림은 '정의란 무엇인가'에 대한 화가의 답이다.
악한 자를 벌하고 선한 자를 보호하는 것, 누구에게나 공정한 것, 그것이 바로 정의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의란 무엇인가? 마이클 샌델 교수가 쓴 세계적인 베스트셀러의 제목이기도 한 이 질문은 고대인들도 했었다.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은 국가가 존재하는 목적을 정의의 실현에 있다고 봤다. 17세기 네덜란드 화가 가브리엘 메취는 정의의 모습을 한 점의 그림(‘정의의 승리’·1651∼1653년경·사진)으로 표현했다.
화면 가운데에는 하얀 드레스를 입은 정의의 여신이 천사들과 함께 등장한다. 눈을 가린 채 오른손에는 검을, 왼손에는 저울을 들었다. 발밑에는 옷이 벗겨진 젊은 남자가 괴로워하며 쓰러져 있다. 가면도 벗겨졌고, 손에는 잣대를 쥐었다. 열린 돈 가방에선 동전들이 쏟아져 나와 있다. 여신이 짓밟고 있는 남자는 탐욕과 속임수를 의인화한 것이다. 돈에 눈이 멀어 얼마나 많은 사람을 속였는지, 천사가 그에게 서류 같은 걸 내민다. 오른쪽에는 아기를 안은 여인과 소년이 무릎을 꿇고 있다. 머리에 애도의 베일을 쓴 여인은 과부이고, 빨간 옷을 입은 소년은 고아다. 이들은 자신들의 딱한 사정을 여신에게 하소연하는 듯하다. 정의의 여신은 칼로 탐욕을 벌하고, 과부와 소년을 향해 공정의 저울을 들었다. 보호의 제스처다.
사실 이 그림은 화가 자신의 삶을 투영하고 있다. 메취는 태어나던 해에 노동자였던 아버지를 잃었다. 당시에는 부모 한쪽만 없어도 고아였다. 가난한 조산사였던 어머니는 세 자녀를 데리고 재혼했지만, 네 번이나 과부가 됐다. 다행히 당시 과부들은 공공 자선 단체의 지원을 받을 수 있었다. 메취는 19세 때부터 전문 화가로 활동했는데, 이 그림을 그린 건 22세 무렵이었다. 가난한 청년 화가에게 세상은 만만치 않았겠지만, 제목처럼 정의가 승리한다는 믿음이 있었기에 도전하고 성취할 수 있었다. 어쩌면 이 그림은 ‘정의란 무엇인가’에 대한 화가의 답이다. 악한 자를 벌하고 선한 자를 보호하는 것, 누구에게나 공정한 것, 그것이 바로 정의다. 우리가 사는 세상은 플라톤의 시대보다, 17세기 네덜란드보다 더 공정한지 되묻게 만드는 그림이다.
화면 가운데에는 하얀 드레스를 입은 정의의 여신이 천사들과 함께 등장한다. 눈을 가린 채 오른손에는 검을, 왼손에는 저울을 들었다. 발밑에는 옷이 벗겨진 젊은 남자가 괴로워하며 쓰러져 있다. 가면도 벗겨졌고, 손에는 잣대를 쥐었다. 열린 돈 가방에선 동전들이 쏟아져 나와 있다. 여신이 짓밟고 있는 남자는 탐욕과 속임수를 의인화한 것이다. 돈에 눈이 멀어 얼마나 많은 사람을 속였는지, 천사가 그에게 서류 같은 걸 내민다. 오른쪽에는 아기를 안은 여인과 소년이 무릎을 꿇고 있다. 머리에 애도의 베일을 쓴 여인은 과부이고, 빨간 옷을 입은 소년은 고아다. 이들은 자신들의 딱한 사정을 여신에게 하소연하는 듯하다. 정의의 여신은 칼로 탐욕을 벌하고, 과부와 소년을 향해 공정의 저울을 들었다. 보호의 제스처다.
사실 이 그림은 화가 자신의 삶을 투영하고 있다. 메취는 태어나던 해에 노동자였던 아버지를 잃었다. 당시에는 부모 한쪽만 없어도 고아였다. 가난한 조산사였던 어머니는 세 자녀를 데리고 재혼했지만, 네 번이나 과부가 됐다. 다행히 당시 과부들은 공공 자선 단체의 지원을 받을 수 있었다. 메취는 19세 때부터 전문 화가로 활동했는데, 이 그림을 그린 건 22세 무렵이었다. 가난한 청년 화가에게 세상은 만만치 않았겠지만, 제목처럼 정의가 승리한다는 믿음이 있었기에 도전하고 성취할 수 있었다. 어쩌면 이 그림은 ‘정의란 무엇인가’에 대한 화가의 답이다. 악한 자를 벌하고 선한 자를 보호하는 것, 누구에게나 공정한 것, 그것이 바로 정의다. 우리가 사는 세상은 플라톤의 시대보다, 17세기 네덜란드보다 더 공정한지 되묻게 만드는 그림이다.
이은화 미술평론가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尹 “경쟁시켜 금융-통신비 경감”…신규은행-제4이통사 선정 추진
- [김순덕 칼럼]우리에겐 젤렌스키보다 위대한 대통령 이승만이 있었다
- “은행·통신 과점 해소”… ‘시장경쟁 촉진’ 방향은 맞다[사설]
- [단독]檢, ‘백현동 특혜 의혹’ 김인섭 고향 후배 입건…수사 본격화
- 김기현 “장제원에 당직 안줘”…안철수 “총선 승리후 당대표 사퇴”
- [단독]합참의장, 5년 만에 백령도 찾아 軍 태세 점검…北도발에 경고장
- ‘김학의 불법출금 수사외압’ 이성윤 1심 무죄
- ‘계약취소’ 서울주택 절반이 新고가… 악질적 ‘집값 조작’ 범죄[사설]
- 이러다 AI의 애완견으로 살아야 할까[오늘과 내일/이진영]
- [단독]檢, ‘테라’측 청탁대가로 수십억 챙긴 티몬 前대표 구속영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