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 지역 상가 공실 산너머 산…업종 제한 완화 효과 '미미'

TJB 김세범 2023. 2. 15. 17:3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세종시가 지역의 심각한 상가 공실을 해소하기 위해 금강 수변 상가의 입주 업종까지 늘려줬지만, 효과는 거의 없는 상태입니다.

지난해 10월, 세종시는 금강을 끼고 조성된 수변 상가 498개 실에 대해 입주 업종을 늘려줬습니다.

설상가상 세종시 상가 공실은 정부 부처가 위치한 1·2생활권에도 불어 닥치고 있습니다.

세종시 상가공실 해소는 경기 침체 속 장기간 풀기 어려운 숙제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세종시가 지역의 심각한 상가 공실을 해소하기 위해 금강 수변 상가의 입주 업종까지 늘려줬지만, 효과는 거의 없는 상태입니다. 이러다 보니 유흥업 빼고는 과감하게 다 풀어주자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는데, 현실적으론 넘어야 할 과제가 많습니다. 상가에 세 들어 살던 정부 부처들이 신축청사로 이전을 시작하면서 세종시 상가의 공실 문제 해결은 더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김세범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해 10월, 세종시는 금강을 끼고 조성된 수변 상가 498개 실에 대해 입주 업종을 늘려줬습니다.

매점과 음식점, 제과점 입점만 가능했지만, 상가 활성화를 위해 이미용원과 서점, 업무시설까지 허용해준 겁니다.

넉 달이 지났지만 시청 인근 상가를 제외하고는 그 밖의 지역은 거의 효과를 못 봐 공실률은 59%로 업종 완화 전 60.5%와 별 차이가 없습니다.

이럴 바에는 유흥업 빼고는 과감하게 풀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병원과 학원, 스크린골프, 사우나 등 거의 전 업종을 열어 주고 공무원의 외식일도 지정해 상권활성화에 팔을 걷어 부치자는 겁니다.

[유인호/세종시의회 의원 : 상권 활성화 자체가 사실 상인들의 문제뿐만이 아니라 지역경제의 기초인 거잖아요. 그런 측면에서 더 적극적인 행정을 한다는 취지에서라도 완화의 폭을 조금 더 넓혀야 한다.]

그러나 이를 한꺼번에 풀기에는 넘어야 산이 많습니다.

당초 행정도시 품격과 경관미, 환경보호 측면에서 금강변 상가는 엄격한 업종제한을 걸었고, 넉 달 전 업종을 최초로 푼 데다, 이런 규제로 당초 분양가도 다른 상가에 비해 저렴하게 공급된 만큼 금강 수변 상가 규제를 풀면 상점주간 형평성 논란이 일 수 있습니다.

[박병규/세종시 상권육성팀장 : 수변 쪽에 있는 상인들과 좀 더 안쪽에 있는 상인들의 의견을 들을 것이고 충분히 이제 의견을 듣고 나면 저희 쪽 입장에서도 어느 정도 형평성을 맞출지 검토를 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설상가상 세종시 상가 공실은 정부 부처가 위치한 1·2생활권에도 불어 닥치고 있습니다.

그간 상가 건물에 세 들어 살던 행정안전부와 과학기술부 등 6개 부처가 정부 세종 신청사가 신축되면서 이달 초 이전을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해당 인력만 2천500여 명으로 이로 인해 상가 500실가량이 빌 것으로 추산됩니다.

세종시 상가공실 해소는 경기 침체 속 장기간 풀기 어려운 숙제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영상취재 : 황윤성 TJB)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