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대책 없이 미래 없다... 경기도내 지자체 지원책 ‘고심’ [이슈M]

이종현 기자 2023. 2. 14. 21:0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용인·부천·시흥, 경력 단절 여성들 위한 취업박람회·상담 등 재취업 프로그램 운영

구인도 구직도 ‘일자리 전쟁’

직장에 다니던 여성이 결혼하고 출산하면 퇴사하는 게 당연시됐었다. 아날로그 시대의 얘기다. 육아와 교육, 살림 등은 여성이 맡아야 한다는 인식이 팽배했었다. 디지털 시대로 접어들면서 이 같은 고정관념은 사라졌고 경력이 단절됐던 ‘경단녀’들은 ‘경력 보유 여성’으로 다시 돌아오려 한다. 베이비부머들의 퇴직이 잇따르는 등 고령화사회가 본격화되면서 노인층의 취업 문제도 우리 사회의 중요한 화두로 등장하고 있다. 지자체들이 이들을 위한 취업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 일하는 여성이 우리 사회의 미래

경기도내 지자체들이 경력이 단절된 여성들을 위한 재취업 프로그램을 펼치고 있다. 용인특례시는 지난해 9월 여성 구직자들을 대상으로 취업박람회를 열고 직업훈련, 상담, 인턴십, 사후 관리 등 취업 서비스를 제공했다. 용인교육지원청, 쿠팡 마장물류센터, 한국맥도날드 등이 참여한 취업박람회는 47.5%의 높은 채용률을 보였다.

부천시는 지난 2009년 여성가족부와 고용노동부 등으로부터 여성 새로일하기센터로 지정받은 뒤 경력단절 여성 취업 상담부터 직업교육훈련, 인턴십 취업 후 사후관리까지 원스톱으로 지원 중이다.

시흥시는 ‘일하는 여성이 미래다’를 슬로건으로 여성들을 위한 대규모 취업박람회를 열고 일대일 전문상담사 배치를 통한 상담 및 취업 알선으로 매년 2천500명 이상의 여성들에게 다양한 일자리를 제공 중이다. 양질의 일자리 발굴을 위해 매년 300곳 이상의 기업 방문과 상황에 맞는 일자리 발굴을 위해 재택근무가 가능한 일자리도 안내해주고 있다.

‘경단녀’ 채용 기업에 지원금을 지원하는 지자체도 있다. 평택시는 3개월간 매월 80만원씩 총 240만원을 지원해준다. 인턴 종료 후 정규직 전환일로부터 3개월 동안 고용을 유지하면 기업과 해당 여성에게 각각 80만원, 60만원을 지급하고 있다. 용인특례시도 경력단절 여성을 채용하고 고용장려금을 지원받을 중소 제조기업 모집을 통해 기업당 많게는 3명까지 1명당 매월 40만원씩 최장 6개월 동안 지원해주고 있다.

■ 디지털시대 맞아 경단녀를 IT 전문가로 양성

인천시는 39억원을 들여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을 위해 새로일하기센터를 통한 지원에 나서고 있다. 시는 9곳에 여성새일센터를 설치하고 어린이급식사, 중소기업 멀티사무원, 경리사무원, 쇼핑몰 창업, 소프트웨어(SW)코딩 전문지도사 등 39개 전문직종 훈련과정을 진행 중이다. 이 과정을 통해 경력이 단절됐던 여성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는 등 미래를 설계해주고 있다.

포천시는 여성 취업률을 제고하기 위해 회계실무와 급식조리사 교육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디지털 시대에 부응해 이모티콘 크리에이터 교육과정과 쇼핑몰 운영자 교육과정도 디지털 시대 맞춤형 프로그램으로 호응을 얻고 있다.

부천시도 디지털 전환 가속화 등 4차 산업에 맞춘 새로운 일자리를 제공하고 신기술 운영 전문가로서 확실한 진로 선택도 제안하고 있다. 대표적인 경우가 ‘VR 메타버스 운영전문가 과정’이다. 지역특화형 직업훈련으로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확장현실(XR) 등 실감 콘텐츠에 대한 전문적인 기술과 지식 등을 습득할 수 있는 이론·장비·콘텐츠 제작 교육과 현장견학 및 실습 등으로 모두 288시간 운영된다.

김포시는 정보기술(IT) 시대에 맞춰 데이터라벨러 전문가와 의류MD 전문가 양성 등을 비롯해 사회복지행정과 산모 및 영유아 돌봄전문가 양성에 주력하고 있다.

■ 풍부한 노하우 갖춘 시니어 일자리도 다양

인천시는 노인일자리 창출 관련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인천의 시니어 일자리사업은 4만6천646명분으로 공익활동형과 사회서비스형, 시장형, 취업알선형 등으로 나눠 적합한 일자리가 제공되고 있다. 시는 올해 공익활동형과 시장형에 각각 3만6천514명, 3천369명을 지원하고 사회서비스형과 취업알선형에 각각 5천666명, 1천97명을 지원할 방침이다.

직종도 다양하다. 성남시에는 경로당 안전지킴이, 복지도우미, 실버금연구역지킴이, 반려견 계도, 환경정비, 어르신 복지배달서비스, 어르신 환경감시단 등이 있다. 안양시에는 환경개선봉사, 경로당 식사 도우미, 학교급식 도우미, 보육교사 도우미, 스쿨존교통지원 등이 있다.

김포시의 시니어 일자리사업은 ‘김포시니어클럽’으로 노인일자리 사업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노인일자리 지원기관이며 전문 시설장이 배치돼 운영한다. 지난 2009년 설립돼 올해 21개 사업에 1천145명이 운영될 예정이다.

양주시는 노인일자리사업 예산이 67억7천100만원으로 회천노인복지관, 양주YMCA, 대한노인회 양주시지회 등 3곳을 중심으로 29개 사업단을 운영해 1천810명이 참여했다. 세부적으로는 47억8천200만원이 투입된 공익활동에는 15개 사업단에 1천518명이 참여했고 사회서비스형에는 9개 사업단(사업비 18억2천400만원)에 230명이 참여했다. 시장형 사업에는 5개 사업단(사업비 1억6천500만원)에 62명이 참여했다.

시흥시는 지난해 153억원을 들여 69개 사업단을 운영해 어르신 5천25명에게 적성과 소질에 맞는 다양한 일자리를 제공했다. 특히 코로나19로 어려운 환경에서도 초등학교 45곳에 등하교 안전지킴이 473명, 급식도우미 370명 등을 파견해 일자리를 창출했다.


전문가 제언 “복지·경제·자아실현, 포괄적으로 접근을”

‘공공형이냐, 민간주도형이냐.’

경력단절 여성과 노인일자리의 해법을 찾을 때 늘 제기되는 질문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일자리 자체가 복지와 경제적 측면, 자아 실현의 큰 틀을 아우르는 만큼 포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권태희 한국고용정보원 부연구위원은 “경력단절 여성 문제와 관련해 각종 교육 지원 프로그램이 대폭 늘어났지만 제도를 들여다보면 10여년 전과 내용이 비슷하다”며 “관련 지원 사업의 예산이 적극적으로 투입되지 않으면 경력을 보유한 유능한 30, 40대 여성들이 빠르게 취업해 시장으로 진입하고 순환하는 구조로 나아갈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경력단절 여성 문제는 오랜 기간 화두였던 만큼 실효성 있는 대안에 관한 탐색이 필요하다”며 “공공형 일자리 사업을 줄이고 무조건 민간에 위탁하는 방식보다는 컨설팅, 취업 지원 등의 영역에서 경쟁력을 갖춘 업체가 선정되도록 면밀히 살펴야 한다. 정부의 역할을 분명히 하는 작업이 필요하고 관계 부처 간 태스크포스 출범 등의 혁신책을 도입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재훈 서울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공공 주도에서 공공 지원형으로의 전환을 강조한다. 정 교수는 “우리나라는 현재 정년이 60세로 정해져 있지만 선진국 대비 미비한 연금제도로 노후 소득 보장 체계가 미흡하다. 이에 부족한 점을 충당하려면 어쩔 수 없이 일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꼬집었다.

정 교수는 “공공형 일자리의 확충은 노인들의 빈곤율을 낮출 수 있지만 현재 베이비붐 세대가 주를 이루는 노인 계층은 생산성 유지와 사회 활동 욕구 등 다양한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며 “소득 비례에 따른 기초연금 보장을 강화하는 방안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민아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는 “일자리 문제 개선은 생계 보장의 의미도 있지만 나가서 다른 사람들을 만나고 사회 활동을 하면서 적게 벌더라도 소득을 얻는 데 대한 자기만족감 등의 효과까지 고려해야 한다”며 “복지와 고용 문제를 이분법적으로 접근하는 정책 방향은 신중해야 한다. 민간에서 적극적으로 고용할 때 정부가 인센티브를 주는 등 정책의 변화를 꾀해야 하는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이종현 기자 major01@kyeonggi.com
김형수 기자 vodokim@kyeonggi.com
김종구 기자 kjg70@kyeonggi.com
홍순운기자 hhsw8899@kyeonggi.com
김경수 기자 2ks@kyeonggi.com
안치호 기자 clgh1063@kyeonggi.com
송상호 기자 ssho@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