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50개사 배당 전년보다 14% 감소…늘린 기업은?

이주희 디지털팀 기자 2023. 2. 14. 10:3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기침체와 실적 둔화 등의 우려로 국내 주요 대기업의 2022년도 결산 배당 규모가 전년보다 대폭 줄었다.

14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에 따르면, 시가총액 상위 50개 상장사의 2022년 결산 배당금은 전년(18조1448억원) 대비 13.7% 감소한 15조6667억원으로 집계됐다.

 LG생활건강의 2022년도 결산 배당액은 671억원으로 전년보다 66.6% 감소했다.

SK이노베이션의 2022년도 결산 배당금은 4816억원으로 전년보다 128.4% 증가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LG생활건강 66.6% 감소…SK이노베이션 128.4% 증가
배당액 1위 삼성전자…개인별 1위는 1991억원 받는 이재용 회장

(시사저널=이주희 디지털팀 기자)

서울 여의도 증권가 모습 ⓒ 연합뉴스

경기침체와 실적 둔화 등의 우려로 국내 주요 대기업의 2022년도 결산 배당 규모가 전년보다 대폭 줄었다.

14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에 따르면, 시가총액 상위 50개 상장사의 2022년 결산 배당금은 전년(18조1448억원) 대비 13.7% 감소한 15조6667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는 시가총액 100대 기업 가운데 전날까지 현금 및 현물배당을 발표한 기업을 대상으로 했다.

배당금이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기업은 LG생활건강이다. LG생활건강의 2022년도 결산 배당액은 671억원으로 전년보다 66.6% 감소했다.

전년보다 배당금이 50% 이상 감소한 기업은 포스코홀딩스(-59.9%), 롯데케미칼(-58.2%), 삼성증권(-55.3%), 메리츠금융지주(-51.8%), SK텔레콤(-50.0%) 등으로 나타났다. 

반면 같은 기간 결산 배당금이 증가한 기업도 있다. SK이노베이션의 2022년도 결산 배당금은 4816억원으로 전년보다 128.4% 증가했다. 이밖에 현대오토에버(62.9%), 현대차(51.1%), 현대글로비스(50%) 등도 증가했다.

배당액이 가장 많은 곳은 삼성전자였다. 삼성전자는 지난 1월 말 결산 배당으로 전년과 동일한 2조4529억원을 의결했다. 분기별로 배당을 하는 삼성전자는 지난 1년간 총 9조8092억원을 배당했다. 현대차와 기아는 2022년도 결산 배당금이 각각 1조5725억원, 1조432억원으로 2,3위를 차지했다.

4대 금융지주 가운데 KB금융과 신한지주는 배당액이 각각 33.8%, 39.1% 감소했다. 반면 우리금융지주와 하나금융지주의 배당액은 각각 30.7%, 6.3% 증가했다.

5개 기업에서 배당금을 받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개인 배당액 1위를 차지했다. 이 회장이 받게 되는 배당금은 총 1991억원으로 전년(2577억원)보다 22.7% 줄어들었다. 2위는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으로 전년보다 31.3% 증가한 1033억원을 받는다. 932억원을 받는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이 3위로 뒤를 이었다.

이밖에 정몽구 현대차그룹 명예회장(841억원), 정몽준 아산재단 이사장(777억원), 구광모 LG그룹 회장(753억원),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620억원), 홍라희 전 리움미술관장(423억원) 등이 10위에 들었다. SK는 조사 기간 배당 발표가 없었기 때문에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순위에 포함되지 않았다.

Copyright © 시사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