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한의 절묘(猫)한 순간들] 발 시린 고양이의 겨울나기/고양이 작가

2023. 2. 13. 05: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린 답을 찾을 것이다. 늘 그랬듯이." 잘 알려진 영화 '인터스텔라'에 나오는 대사다.

발과 목도리의 합성어인 발도리는 말 그대로 꼬리의 풍성한 털로 시린 발을 덮어 보온하는 것이다.

사실 고양이의 발바닥은 지방과 각질층으로 이루어진 패드 부분이 있어서 우리가 느끼는 차가움을 크게 느끼지 않는다.

그래, 언제나 답은 우리 발밑에 있는 것이지.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용한 고양이 작가

“우린 답을 찾을 것이다. 늘 그랬듯이.” 잘 알려진 영화 ‘인터스텔라’에 나오는 대사다. 어떤 극한 상황에서도 늘 답을 찾아 온 인류의 역사가 이 대사에 녹아 있다. 그렇다면 길에서 사는 고양이는 어떨까. 우리의 눈에는 진화를 해 온 것도 아니고, 변화를 꾀하는 것 같지도 않아 보이지만 그건 인간의 관점일 뿐이다. 고양이도 변화무쌍한 환경에 맞서 늘 답을 찾아 왔다. 사실 지금 우리 앞에 있는 고양이는 인류가 탄생하기 훨씬 전 1100만년 전부터 지구의 환경에 적응해 온 생명체다. 그들은 고향인 아프리카 사막을 떠나 전 세계로 퍼져 나갔고, 현재는 우리의 집 안은 물론 인터넷 공간까지 점령해 버렸다.

에비게일 터커는 ‘거실의 사자’에서 이렇게 쓴 적이 있다. “고양이가 인터넷을 휩쓴 것은 현재 진행 중인 세계 정복 과정에서 가장 최근의 승리일 뿐 그 끝은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현실 세계의 고양이들은 세계 정복 따위에는 관심조차 없다. 그저 하루하루 고된 현장에서 악전고투하거나 묵묵히 견뎌 낼 뿐이다. 인간의 손길이 미치지 않는 환경에서는 더더욱 그렇다. 늘 그랬듯이 그들은 스스로 답을 찾으며 주어진 환경을 살아간다.

절기상 입춘이 지났지만 아침저녁으로는 여전히 쌀쌀한 영하권 날씨가 계속되고 있다. 이 추위에 밖에서 사는 고양이들은 저마다의 방법으로 겨울을 나고 있다. 가장 좋은 방법은 역시 따뜻한 장소를 찾아 은신하는 것이다. 거리에서는 일명 냥모나이트(암모나이트처럼 몸을 둥그렇게 만 자세)를 하거나 발도리(목도리처럼 꼬리털로 앞발을 감싼 모습)를 하는 것으로 체온을 유지한다. 발과 목도리의 합성어인 발도리는 말 그대로 꼬리의 풍성한 털로 시린 발을 덮어 보온하는 것이다. 이것은 우리가 거리에서 만나는 가장 흔한 풍경이기도 하다. 그런데 여기 기발한 방법으로 시린 발을 데우는 고양이가 있다. 풍성한 꼬리털을 방석처럼 찬 바닥에 놓고 그 위에 언 발을 척 올려놓았다. 혹자는 ‘그럼 발 대신 꼬리가 춥잖아요’ 하겠지만, 우선 언 발을 녹인 뒤 다시 발등을 감싸면 될 일이다.

백설처럼 하얀 고양이가 오랜 풍상에 때를 탔지만 자세만은 꼿꼿하다. 우연히 거리에서 만나 여러 장의 사진을 찍었지만, 녀석은 ‘가던 길 가시오’ 하면서 예의 근엄함을 잃지 않았다. 사실 고양이의 발바닥은 지방과 각질층으로 이루어진 패드 부분이 있어서 우리가 느끼는 차가움을 크게 느끼지 않는다. 이 패드는 에어쿠션 역할을 함으로써 높은 곳에서 떨어져도 충격을 흡수하고, 조심스럽게 이동할 때면 자체 음소거까지 지원한다. 그러나 아무리 좋은 기능도 한계가 있는 법. 혹독한 추위에 눈밭이나 얼음 위를 걷다 보면 도리가 없다. 꼬리털의 따뜻함이라도 큰 도움이 되는 것이다. 발 시린 고양이가 찾아낸 이 방법은 한편으로 짠해 보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한없이 귀엽고 기특해 보인다. 그래, 언제나 답은 우리 발밑에 있는 것이지.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