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 '탄핵 발언'에 安 "망상"… 본선 막오르자 뜨거워진 설전

박소현 2023. 2. 12. 19:2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힘 전대 본경선 레이스 시작
김기현 "安 되면 대통령 탄핵 우려"
안철수 "공포 조성… 사과하라"
미공개 컷오프 득표율도 신경전
金 "내가 1위"… 安 "허위사실"
국민의힘 차기 지도부를 선출하는 3·8 전당대회 본경선 레이스가 시작되자마자 양강주자인 김기현·안철수 후보의 신경전이 갈수록 거세지고 있다. 공개되지 않은 전대 예비경선(컷오프) 득표율을 두고 김 후보 측은 안 후보 측을 따돌리고 큰 격차로 1위를 차지했다고 주장하는 반면 안 후보 측은 허위사실 공개라며 맞서고 있다.

김 후보는 또 안 후보가 당 대표가 되면 윤석열 대통령이 '탄핵'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해 안 후보가 강력하게 반발하며 김 후보의 사과를 요구하는 등 차기 당권을 둔 신경전은 격화되는 양상이다. 본 경선에서 '과반 득표'를 차지하기 위해 김 후보는 전통 지지층을 최대한 결집하기 위해 '안철수 당 대표=당 분열'이라는 프레임을 짜고 있고, 이에 맞서 안 후보는 야권을 공격하면서 '비윤석열' 프레임에서 벗어나는 동시에 정책으로 차별화를 꾀해 안철수로 내년 총선 승리가 가능하다는 점을 내세울 것으로 보인다.

12일 여권에 따르면 김 후보는 이날 KBX '일요진단 라이브'에 출연해 "일부 언론에서 보도된 기사를 보니까 제가 (예비경선 득표율)1등을 했다고 나와 있고 1·2등 사이에 큰 격차가 났다고 하는데 아마 허위보도는 아닐 거라 짐작하고 있다"면서 "책임당원 6000명 답변으로 순위를 정한 것인데 거기서 1등이 나왔고 큰 격차가 났다고 하는 것은 앞으로 진행 과정에서 김기현이가 이긴다는 중요한 지표가 아닐까 생각한다"고 안 후보를 자극했다. 김 후보는 "당이 분당되면 굉장히 위험하다"면서 "당내 대통합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날에도 김 후보는 경기 중남부 보수정책 토론회에서 "대선 욕심이 있는 분은 (당 대표로) 곤란하다"며 "현재 권력과 미래 권력이 부딪치면 차마 입에 올리기도 싫은 '탄핵'이 우려된다"고 안 후보가 당 대표가 될 경우 '탄핵' 가능성을 언급했다.

잠재적 대권주자인 안 후보를 공격해 지지층을 결집하려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차기에 욕심이 있을 경우 안정적인 당 관리나 수평적인 대통령실·당·정 관계를 리드하기보다는, 대권 이벤트를 비롯한 '자기 정치'를 앞세우게 돼 결국 '원팀 정신'의 강도를 떨어뜨리기 된다는 점을 우회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자 안 후보는 "도대체 어떤 정신상태기에 저런 망상을 할까"라면서 "안철수가 그렇게 두려우나"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아마 전략적으로 당원들에게 공포 분위기를 조성하고 싶어 한 것 같은데, 제가 보기에는 오히려 이 두 사람(신평 변호사, 김기현 후보)이 공포에 사로잡혀 있는 듯 보인다"고 비판했다. 이어 "저는 김기현 후보의 대통령 탄핵 발언에 대해 사퇴 요구까지 할 생각은 없다. 사퇴는 신평 변호사 한 명이면 된다"며 "그러나 김기현 후보는 국민과 당원에게 사과는 하셔야 한다"고 요구했다.

안 후보는 또 '시스템 공천'을 내세워 김 후보의 '대선주자의 사심 공천' 견제구를 정면 돌파했다. 안 후보는 이날 국회에서 정책 비전 발표회를 열고 "내년 공천과 관련하여 공정하고 투명한 공천 시스템만 짜놓고 공천에는 일체 관여하지 않겠다"며 "정실 공천도 외압 공천도 모두 차단하고 오로지 국민 눈높이와 당원 기대치에 부합하는 공천이 이뤄지도록 할 것"이라고 했다.

안 의원은 또 자신의 차기 출마 지역구도 당 공천관리위원회의 결정에 따르겠다고 했다. 전대가 이른바 '윤심(윤석열 대통령의 의중·尹心) 경쟁'으로 흐르는 상황에서 안 의원은 '공천권 개입 최소화' 전략으로 지지층을 사로잡겠다는 전략이다.

안 의원은 자신을 향한 대통령실의 '엄중 경고' 이후 친윤을 향한 직접적인 공격은 자제하며 정책 위주로 승부수를 띄우고 있다. '챗GPT 대국민 서비스', 'AI 정치혁명위원회' 설치가 그 일환이다. 황교안·천하람 후보도 약점인 인지도 끌어올리기에 사력을 다하면서 각각 당원들의 보수, 개혁적 표심을 겨냥한 밑바닥 민심훑기에 총력전을 펴고 있다.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