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의 길목 제주는 울긋불긋 꽃세상…유채꽃·매화·동백 활짝

고동명 기자 2023. 2. 11. 13:4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봄과 겨울의 문턱에선 제주에 다양한 색채의 꽃들이 피어나 도민과 관광객들을 유혹하고 있다.

제주에서는 가장 먼저 봄소식을 전하는 꽃은 매화나 벚꽃, 개나리가 아니라 바로 유채꽃이다.

제주 유채꽃은 이르면 12월부터 피어나 한라산 눈꽃과 대비를 이뤄 이색적인 풍경을 만들어낸다.

제주에서는 유채꽃이 관광자원으로 각광받으면서 개화 시기를 앞당기거나 늦추는 연구를 통해 지금은 겨울에 피는 유채꽃이 탄생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관상용 재배 노란물결 유채꽃 산방산·성산읍 등 유명
봄의 전령 매화 최근 개화…동배꽃도 빼놓을수 없어
1월20일 오전 제주 서귀포시 안덕면 산방산 인근에 유채꽃이 피어있다. 제주에서는 주로 관상용으로 유채꽃을 재배하며 개화 시기를 개량해 겨울에도 감상할 수 있다. 2023.1.20/뉴스1 ⓒ News1 고동명 기자

(제주=뉴스1) 고동명 기자 = 봄과 겨울의 문턱에선 제주에 다양한 색채의 꽃들이 피어나 도민과 관광객들을 유혹하고 있다.

제주에서는 가장 먼저 봄소식을 전하는 꽃은 매화나 벚꽃, 개나리가 아니라 바로 유채꽃이다.

제주 유채꽃은 이르면 12월부터 피어나 한라산 눈꽃과 대비를 이뤄 이색적인 풍경을 만들어낸다. 유채꽃은 11월에 파종해 3월말에서 4월초에 만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제주에서는 유채꽃이 관광자원으로 각광받으면서 개화 시기를 앞당기거나 늦추는 연구를 통해 지금은 겨울에 피는 유채꽃이 탄생했다. 겨울 유채꽃은 교잡종인 산동채로 8월말에 파종한다.

2월8일 오후 제주 서귀포시 성산읍 성산일출봉 인근 유채꽃밭에 아이들이 꽃길을 뛰놀고 있다.2023.1.8/뉴스1 ⓒ News1 고동명 기자

서귀포시 안덕면 산방산 인근과 성산일출봉 주변이 유채꽃 명소로 꼽힌다.

물론 유채꽃의 노란물결이 장관을 펼치는 시기는 3월이다. 서귀포시 표선면 가시리에서는 매년 유채꽃축제를 연다.

봄의 전령이라 불리는 매화도 최근 '공식'적으로 개화했다.

제주지방기상청에 따르면 9일 제주지방기상청 관측장소에 있는 계절 관측용 매화나무에 꽃이 피었다. 평년보다 7일 이르고 지난해보다는 2일 늦다.

제주지역 낮 최고기온이 16도를 넘어선 2월7일 오후 제주시 한라수목원에 매화가 펴 시선을 사로잡고 있다. 2023.2.7/뉴스1 ⓒ News1 오현지 기자

기상청은 계절 관측용 매화나무에 세 송이 이상의 꽃이 필 때 매화가 개화한 것으로 본다.

매화는 언뜻보면 벚꽃과 유사하지만 개화시기가 매화쪽이 1~2달 더 빠르고 나무 모양이나 꽃잎 모양, 그리고 향도 다르다. 휴애리 자연생활공원, 걸매생태공원, 노리매 공원이 매화 관광지로 유명하다.

제주의 겨울을 대표하는 꽃은 뭐니뭐니해도 동백이다. 이름 자체가 '겨울에 꽃이 핀다는 동백(冬柏)이니 더 이상 무슨 말이 필요할까.

1월17일 오후 제주 서귀포시 남원읍 휴애리자연생활공원에서 방문객들이 동백꽃을 감상하고 있다. 2023.1.17/뉴스1 ⓒ News1 오현지 기자

'조천읍 선흘리 동백동산(제주도기념물 제10호)', '남원읍 신흥리 동백나무 군락지(제주도 기념물 제27호)', '남원읍 위미리 동백나무 군락(제주도기념물 제39호)'은 동백나무 군락지가 문화재로 지정됐을정도로 제주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꽃이다.

11월 말부터 꽃을 피우는 애기동백꽃이 한 잎씩 떨어질쯤이면 뒤이어 토종동백나무가 짙붉은 꽃망울을 터뜨리기 시작한다. 1월부터 꽃을 피우는 토종동백꽃은 3월쯤 송이째 떨어지며 진다.

동백꽃의 특징인 송이째 툭 떨어지는 처연함과 핏자국처럼 붉은 빛은 현대사의 비극 '제주4·3'을 상징하기도 하다.

kdm@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