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빅테크 감원 물결에 외국인 전문직 수만 명 해고된 듯

강건택 2023. 2. 11. 06:3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빅테크를 비롯한 미국의 기술기업들에 감원 한파가 불어닥치면서 전문직 비자를 소지한 외국인 노동자들이 가장 큰 타격을 받고 있다.

전문직 취업비자로 불리는 H-1B 비자를 받은 외국인 노동자는 해고 후 60일 이내에 다른 일자리를 찾아야 고국으로 쫓겨나지 않고 미국에 계속 거주할 수 있지만, IT(정보기술) 업계 전체가 구조조정에 나섰다는 점을 고려하면 쉽지 않은 일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구글 뉴욕 사옥 앞에서 최근 해고에 대해 항의시위하는 노조원들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뉴욕=연합뉴스) 강건택 특파원 = 빅테크를 비롯한 미국의 기술기업들에 감원 한파가 불어닥치면서 전문직 비자를 소지한 외국인 노동자들이 가장 큰 타격을 받고 있다.

전문직 취업비자로 불리는 H-1B 비자를 받은 외국인 노동자는 해고 후 60일 이내에 다른 일자리를 찾아야 고국으로 쫓겨나지 않고 미국에 계속 거주할 수 있지만, IT(정보기술) 업계 전체가 구조조정에 나섰다는 점을 고려하면 쉽지 않은 일이다.

10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첨단 기술 산업을 통틀어 지난해 이후 모두 25만7천 명이 일자리를 잃었다.

미 컴퓨터기술산업협회(CompTIA) 집계 결과 지난달에만 미국에서 3만2천 개의 기술 분야 일자리가 감소했고, 기술 분야 구인건수도 26만9천 건으로 역대 최다였던 지난해 3월(39만4천 건)의 거의 3분의 2에 불과했다.

해고된 테크 노동자 중 정확히 몇 명이 H-1B 비자 소지자인지는 파악되지 않지만, 업계에서는 수만 명이 감원 조치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추산한다고 WSJ은 전했다.

미국이민위원회(AIC)는 STEM(과학·기술·공학·수학) 분야 종사자 중 비자 소지자와 영주권자, 시민권 취득자를 합쳐 외국 출신 노동자가 거의 4분의 1을 차지한다고 지난 2019년 추산한 바 있다.

지난달 보스턴의 한 데이터분석 회사에서 해고된 인도 출신 수샨트 아로라는 WSJ에 60일 이내 재취업을 위해 거의 600개 회사에 지원서를 내 겨우 3건의 면접을 잡았다며 "악몽 같다. 난 까다롭게 굴 수 있는 처지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특히 해외 휴가 중에 해고 통보를 받은 외국인 IT 노동자들은 아예 미국 재입국이 불허돼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

미국 체류 중 해고돼 재취업을 알아보는 H-1B 비자 소지자에게 주어지는 60일의 유예 기간이 해외 체류 중인 해고자에게는 적용되지 않기 때문이다.

트위터 직원이었던 뉴먼 봉은 지난해 12월 말레이시아 휴가 중 해고를 통보받는 바람에 캘리포니아 자택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고국인 호주에 머물고 있다고 WSJ에 전했다.

그는 로스앤젤레스의 이웃과 친구들에게 자신의 자동차 배터리가 방전되지 않도록 가끔 차를 몰아달라거나 화초에 물을 주라고 부탁한다면서 "지난 10년간 미국에 머물기 위해 아주 열심히 일했다. 캘리포니아가 내 집이고 친구들도 다 거기에 있다"라고 한탄했다.

firstcircle@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