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생산자물가 넉달째 마이너스…방역 풀어도 경기는 아직 '썰렁'

강현우 2023. 2. 10. 18:3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 도매물가가 넉 달 연속 하락했다.

장바구니 물가 상승률도 예상치에 못 미쳤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1월 생산자물가지수(PPI) 상승률이 전년 동월 대비 -0.8%로 집계됐다고 10일 발표했다.

중국의 PPI 상승률은 지난해 10월 -1.3%로 코로나19 사태 충격이 이어지던 2020년 12월(-0.4%) 이후 22개월 만에 마이너스로 떨어진 바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월 0.8% 하락…전달보다 악화
부동산시장 침체 여파 반영
소비자물가도 예상치 밑돌아

중국 도매물가가 넉 달 연속 하락했다. 장바구니 물가 상승률도 예상치에 못 미쳤다. ‘제로 코로나’ 폐기 이후 기대됐던 경기 반등이 제대로 나타나려면 아직 시간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1월 생산자물가지수(PPI) 상승률이 전년 동월 대비 -0.8%로 집계됐다고 10일 발표했다. 중국의 PPI 상승률은 지난해 10월 -1.3%로 코로나19 사태 충격이 이어지던 2020년 12월(-0.4%) 이후 22개월 만에 마이너스로 떨어진 바 있다. 1월까지 4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1월 PPI 상승률은 지난해 12월의 -0.7%와 로이터통신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 -0.5%를 밑돌았다. 국가통계국은 국제 유가와 국내 석탄 가격 하락세의 영향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항목별로는 철강재가 -11.7%, 건축자재가 -5.3%로 나타났다. 부동산 시장 침체 여파가 여전하다는 진단이다.

중국 수출기업들의 출고가는 선진국 경기에 연동하는 경향이 크다. 중국의 수출은 지난해 12월까지 3개월 연속 감소했다. 중소기업과 수출기업 중심의 차이신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지난달 49.2로 6개월 연속 기준선인 50을 밑돌았다.

장바구니 물가인 소비자물가지수(CPI)의 1월 상승률은 2.1%로 조사됐다. 작년 12월(1.8%)보다는 높아졌으나 시장 예상치(2.2%)보다는 다소 낮았다. 식품이 6.2% 뛰었지만, 비식품은 1.2%로 상승률이 낮았다. CPI 구성 항목 중 가장 비중이 큰 돼지고기(2% 내외)가 11.8%, 관광이 11.2% 올랐다. 반면 자동차는 1.8%, 휴대폰은 0.8%, 주택 임대료는 0.6% 내렸다.

지난달 21~27일 춘제(설) 연휴 관광과 영화 등 여가 소비는 코로나 사태 전인 2019년의 80~90% 수준으로 회복했다. 하지만 주택과 자동차 등 고가 소비재 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30% 이상 감소했다. 소비 심리가 아직 충분히 회복되지 못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저우하오 궈타이쥔안 수석이코노미스트는 “물가 안정세가 유지되고 있다는 점에서 경기를 부양하기 위한 완화적 통화정책이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베이징=강현우 특파원 hkang@hankyung.com

해외투자 '한경 글로벌마켓'과 함께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