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통' 케이뱅크, '고금리' 카카오뱅크…줄기는 커녕 5년째 민원 급증

권준수 기자 2023. 2. 10. 18:21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모바일 뱅킹 이용자가 크게 늘면서 인터넷전문은행도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산 장애 등으로 불만을 느끼는 민원은 매년 늘고 있어 서비스 개선 노력이 더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권준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석 달 전 케이뱅크는 7시간 넘게 전산장애가 이어지면서 소비자들이 큰 불편을 겪었습니다. 

이 같은 서비스 불편을 호소하며 지난해 금융감독원에 접수된 케이뱅크 관련 민원은 246건으로 나타났습니다. 

한 해 전보다 20건 가까이 늘었습니다. 

3년 전 100건을 밑돌던 민원은 줄어들지 않고 오히려 2년 전 두 배이상 늘더니 200건을 훌쩍 넘어섰습니다. 

카카오뱅크 역시 지난해 카카오 서버 화재사태로 앱 접속이 지연돼 소비자들이 불편을 겪었습니다. 

지난해 두 인터넷 은행의 민원은 모두 660건 전년 대비 10% 가까이 늘었습니다. 

[박재호 /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IT를 기반으로 한 인터넷 전문은행의 경우 통신 장애 같은 문제에 더욱 철저히 대비하여 소비자 입장에서 불편을 겪지 않도록 해야 하는데 대비가 부족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전산 장애뿐만 아니라 카카오뱅크 같은 경우 동종업권 대비 높은 대출금리 문제가 민원으로 이어진 경우도 많았습니다. 

지난해 카카오뱅크는 가계 신용대출 금리가 케이뱅크보다 평균 2%p 정도 더 높았고, 최대 4%p 넘게 벌어지기도 했습니다. 

카카오뱅크는 "고객 수가 늘고 지난해 기준금리가 오르면서 민원이 소폭 증가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은희 /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 고객수가 늘어난다고 무조건 민원이 늘어나는 건 아닙니다. 인터넷 은행은 그만큼 시간이 지날수록 안전한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재작년 10월 문을 연 토스뱅크 역시 지난해 128건으로 적지 않은 민원이 발생했습니다. 

SBS Biz 권준수입니다. 

SBS Biz 기자들의 명료하게 정리한 경제 기사 [뉴스'까'페]

네이버에서 SBS Biz 뉴스 구독하기!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