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디즈니 비전에 환호한 월가...행동주의 투자자 “싸움 끝났다”

유재희 2023. 2. 10. 12:5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디즈니, 미디어·엔터부문내 ESPN 분리해 3개부문으로 조직 개편
2024년말까지 스트리밍사업 흑자전환 집중...가입자수 가이던스 미제공
55억달러 비용 절감...7000명 직원 구조조정
월가 목표가 줄상향 "조직 유연성·재정적 효과 개선 기대"

[이데일리 유재희 기자] “디즈니의 비전과 계획에는 강세론자들이 원하는 모든 것이 다 포함돼 있다.”

월트 디즈니(DIS)가 다소 아쉬운 실적을 발표했음에도 월가의 찬사가 쏟아지고 있다. 실적 자체보다는 디즈니가 밝힌 앞으로의 비전과 사업 계획 등이 월가의 마음을 사로잡은 것으로 보인다.

앞서 지난 8일(현지시간) 디즈니는 2023회계연도 1분기(10~12월) 실적을 발표했다.

매출액은 235억1000만달러로 월가 예상치 234억5000만달러를 웃돌았다. 조정 주당순이익(EPS)은 0.99달러로 역시 예상치 0.78달러를 상회했다.

다만 사업부문별로 보면 미디어·엔터 부문의 매출액은 전년대비 1% 증가한 147억8000만달러에 그쳤다. 154억달러를 기대했던 월가의 눈높이에 크게 미흡했다. 이중 스트리밍 서비스가 포함된 DTC부문 매출은 53억1000만달러로 예상(54억4000만달러)을 밑돌았다.

디즈니+ 가입자도 1억6180만명에 그쳐 전분기말과 비교해 240만명이 감소했다. 구독료를 인상하면서 고객 이탈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테마파크부문 매출이 20% 넘게 급증하는 등 개선세를 보이면서 그나마 전체 실적을 방어한 것으로 보인다.

투자자들이 이번 분기 실적보다 더 주목한것은 조직개편 및 구조조정 등 향후 사업계획이다.

디즈니는 현재 미디어·엔터, 테마파크 등 2개 부문으로 구성된 조직을 엔터, ESPN, 테마파크 등 3개 부문으로 개편하고 ESPN부문에 TV네트워크 및 스포츠 스트리밍 서비스인 ESPN+ 사업 등을 포함시킬 계획이다.

아울러 총 55억달러(콘텐츠 30억달러, 비콘텐츠 25억달러) 규모의 비용을 절감한다는 방침이다. 그 일환으로 이번에 7000명의 직원을 구조조정한다. 수년간 중단했던 배당도 연말까지 재개할 계획이다.

지난해 11월 디즈니의 구원투수가 되기 위해 최고경영자(CEO)로 다시 복귀한 밥 아이거는 이날 CNBC와의 인터뷰에서 “2024년까지 스트리밍 사업을 흑자로 전환하는데 집중할 것”이라며 “수익에 주목하기 위해 앞으로 신규 가입자에 대한 가이던스를 제공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어 “콘텐츠 강화를 위해 조만간 겨울왕국과 토이 스토리 속편을 출시하겠다”고 덧붙였다.

디즈니가 ESPN을 분사하는 대신 사업부문 분리를 택한 가운데 또다른 스트리밍 서비스 기업 훌루 지분 향방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현재 훌루 지분은 디즈니와 컴캐스트가 각각 67%, 33% 보유 중이며, 내년 1월까지 컴캐스트 지분을 디즈니가 인수할 수 있는 옵션을 갖고 있다. 월가에서는 디즈니가 훌루 지분을 100% 인수해야 한다든가, 오히려 보유 지분을 모두 매각해 선택과 집중을 해야한다는 의견이 충돌하고 있다.

이에 대해 밥 아이거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밥 아이거 월트디즈니 CEO가 한 방송에 출연해 인터뷰를 하고 있다.
밥 아이거의 언론 인터뷰 후 저명한 행동주의 투자자이자 트라이펀드 매니지먼트의 CEO 넬슨 펠츠는 그동안 디즈니의 변화를 요구하며 진행 중이던 주주총회에서의 표 대결 계획을 철회했다. 그는 “디즈니는 우리가 원하는 모든 것을 하고 있다”며 “이제 싸움은 끝났고 앞으로 응원하겠다”고 말했다.

월가 전문가들의 목표가 상향도 이어졌다. 골드만삭스는 디즈니에 대한 목표주가를 종전 119달러에서 136달러로 상향 조정했고, 웰스파고는 125달러에서 142달러로 높였다. 이밖에 뱅크오브아메리카 증권과 루프캐피탈, 로젠블랫, 크레디트스위스, 키방크 등도 종전 115~126달러에서 129~135달러 수준으로 올렸다.

웰스파고의 스티븐 카홀 애널리스트는 “디즈니의 향후 계획에는 디즈니 강세론자들이 원하는 모든 것이 포함돼 있다”며 “디즈니+의 마케팅비 축소나 가입자당 평균매출(ARPU) 및 마진 개선 목표 등이 이에 해당한다”고 평가했다.

RBC캐피탈마켓의 컷군 마랄 애널리스트는 “DTC(스트리밍 서비스 등) 부문의 급격한 진화와 조직개편 노력은 디즈니의 향후 운영 및 재정에 중대한 영향을 가져올 것”으로 전망했다. 울프리서치의 수피노 애널리스트도 “DTC 가입자수에 대한 가이던스 미제공이나 ESPN부문 분리 등을 통해 조직의 유연성이 극대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디즈니에 대해 투자의견을 제시한 월가 애널리스트는 총 29명으로 이중 24명(82.8%)이 매수(비중확대 포함) 의견을 유지하고 있다. 평균 목표주가는 124.2달러로 이날 종가보다 12.54% 높다.

유재희 (jhyoo76@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