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에 대한 예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인 국제변호사로 한국 대학에서 일하는 먼디는 아내, 자녀 9명과 산다.
엠비시에브리데이 <어서와 한국살이는 처음이지> 는 막내 돌잔치를 다뤘다. 어서와>
이 프로그램에 나온 스페인 사람 알레한드로는 인도네시아인 아내와 한국에 산다.
그는 9년8개월 한국에서 일할 수 있지만 2015년 결혼한 아내는 함께 올 수 없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삶의 창]
[삶의 창] 김소민 | 자유기고가
미국인 국제변호사로 한국 대학에서 일하는 먼디는 아내, 자녀 9명과 산다. 엠비시에브리데이 <어서와 한국살이는 처음이지>는 막내 돌잔치를 다뤘다. 가족은 함께 조깅하고 아침상을 차린다. 이 프로그램에 나온 스페인 사람 알레한드로는 인도네시아인 아내와 한국에 산다. 호텔 총지배인인 그의 집은 아내의 취향에 따라 알록달록이다. 한국에서 일하는 이들이 가족과 사는 건 당연하다.
네팔에서 옥수수 농사를 했던 선데스(30)는 2016년 고용허가제로 한국에 와 프레스 공장에서 일한다. 고용허가제에 따르면 4년10개월 일한 뒤 출국했다 사장이 성실근로자로 인정하면 한국으로 돌아와 4년10개월 더 일할 수 있다. 선데스는 성실근로자로 7개월 전 한국에 다시 왔다. 그는 9년8개월 한국에서 일할 수 있지만 2015년 결혼한 아내는 함께 올 수 없다. 비자를 받을 수 없다. 선데스 같은 노동자가 한국에 눌러살지 못하게 하기 위해서다. 아내가 그를 방문하려면 관광비자를 받아야 하는데 이 또한 사장의 보증이 필요하다. 그는 네팔에 다녀올 수 있을 만큼 휴가를 얻을 수도 없다.
지난해 말 정부는 고용허가제 개편안을 내놨다. 중소기업이나 농어촌에서 일손이 부족하다 아우성쳤기 때문이지 이주노동자를 위해서가 아니다. 개편안을 보면, 고용허가제로 온 이주노동자가 ‘준 숙련 인력’으로 인정받으면 중간에 출국하지 않고 한국에서 10년 이상 일할 수 있도록 했다. 그래도 가족과 함께 살 권리는 없다. 가족결합권은 유엔이 보장하는 인권이지만 한국에서 선데스는 ‘노동력’이지 ‘사람’이 아니다.
선데스가 한국에 처음 왔을 때 공장에서는 그를 포함해 네팔인 3명과 사장이 일했다. 그새 공장 규모가 커져 지금은 네팔 노동자가 5명, 한국 노동자가 5~6명이다. 그의 임금은 그간 30만원 올랐다. 공장을 “함께 키웠다”고 생각하는 그는 공장 옆 컨테이너에 산다. 난방시설과 부엌이 생긴 건 대여섯 달 전이다. 성실노동자로 인정받지 못할까봐 화장실 가는 것도 눈치 봤다. 묵묵히 하루 할당량인 경첩 8천개를 채웠다. 한국에 돌아온 뒤, 그는 5년 동안 못했던 말을 했다. 할당량이 과하다. 사장은 보름째 일을 주지 않았다. 그 기간엔 임금도 없다. ‘괘씸죄’다. 사업장을 옮기고 싶지만 그러려면 사장 동의가 필요하다. 해줄 리 없다. 고용허가제가 ‘현대판 노예제’라고 비판받는 까닭이다. 사장의 화가 풀리길 기다리는 그는 “아내가 보고 싶다”고 했다.
그의 상황은 농촌 이주노동자들에 비하면 배부른 소리인지도 모른다. 적어도 월급을 뜯기지 않으니까. 우춘희가 쓴 <깻잎 투쟁기>를 보면, 농촌 이주노동자들은 하루 10시간 일하고 8시간어치 임금만 받는다. 노동자들이 이탈할까봐 일부러 임금을 체불한다. 캄보디아인 쓰레이응은 체불임금 6천만원을 못 받고 돌아갔다. 대한민국 정부가 알선한 일자리지만 아무도 책임지지 않는다. 2020년 이주노동자들이 받지 못한 체불임금은 1287억원이다. 2020년 캄보디아인 속헹은 한파주의보가 내린 날 난방이 되지 않는 비닐하우스 숙소에서 숨졌다. 이런 비닐하우스 숙소 비용은 사람당 15~20만원이다. 이후 정부는 비닐하우스 안 컨테이너 숙소는 금지했는데 비닐하우스 밖에 있는 컨테이너는 ‘임시숙소’로 허용해줬다.
정부는 고용허가제 노동자 규모를 지난해 6만9천명에서 올해 11만명으로 늘리겠다고 밝혔다. 고용허가제 개편안에는 이들에게 얼마나 더 일 시킬지에 관한 얘기만 있다. 유엔인권최고대표사무소가 정한 9대 핵심 조약 중 하나가 ‘이주노동자권리협약’인데, 한국은 9개 중 이 조약만 빼고 비준했다. 이주노동자 없이는 밥상도 차릴 수 없는 한국인의 일상은 인종주의적 착취 위에 서있다.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김정은 딸 김주애, 열병식 한가운데 당당히…후계 포석?
- “노르트스트림 가스관 폭파는 미국 공작” 미 언론인의 폭로
- 조응천 “곽상도가 뇌물 아니라면, 이재명-김용은 어떻게 엮나”
- 튀르키예 지진 때문에 여행 취소하는데…“위약금 40% 내라”
- [단독] 자영업 ‘코로나 빚’ 원금 깎아준다더니…4개월새 80건뿐
- ‘터키군’이 키운 6·25전쟁 고아 “이제 내가 도울 때” 1천만원 기부
- 곽상도 ‘50억 무죄’에 씁쓸한 청년들 “결국 부모 잘 만나야…”
- 대통령실, ‘직무 정지’ 이상민 대행에 차관 유임…“잠시 잇몸 운용”
- 이수만 없는 SM?…경영권 분쟁, 아티스트 지지 여부도 변수
- [영상] 2심도 원청 무죄…김용균 어머니 “이런 재판이 노동자 죽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