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지사 “‘경기GPT’ 구상 통해 도정 활용 추진”

손봉석 기자 2023. 2. 9. 18:4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 SNS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최근 들어 급부상한 대화형 인공지능 ‘챗GPT’ 열풍과 관련 “이참에 본격적으로 ‘경기GPT’ 구상을 시작하려 한다”고 9일 밝혔다.

김 지사는 이날 SNS에 ‘챗GPT, 지켜보고만 있진 않겠다’라는 제목의 글을 올려 경기도정에 진화된 인공기술을 도입하는 동시에 인공지능 활용에 따른 일자리 문제를 보완하는 정책도 추진하겠다는 구상을 제시했다.

챗GPT는 미국 비영리 연구소 ‘오픈AI’가 개발한 대화형 인공지능 챗봇이다. GPT란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의 약자로, 우리 말로는 ‘미리 훈련된 생성 변환기’라고 해석할 수 있다.

기존 입력된 스크립트로만 대화를 진행하는 ‘연산형’ 변환기에서 진일보, 딥러닝을 통해 스스로 언어를 생성하고 추론할 능력을 지녔다.

김동연 지사는 “챗GPT를 저도 한번 사용해봤다”면서 “기술 발전 속도는 참으로 놀랍다. 편리함이 커지고 기업이 성장하는 큰 기회가 될 수도 있는 한편 일자리가 사라지고 경제적 격차가 커질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또 “이미 ‘인공지능 기반 디지털 도정’을 공약한 바 있는데, 인공지능을 활용해 정책정보를 손쉽게 접하고 행정을 효율화할 수 있다”며 “인공지능을 적극 활용하는 것과 동시에 그에 따른 일자리 문제 등 사회 문제를 보완하는 정책도 함께 준비하겠다”고 설명했다.

김동연 지사는 “상상의 지평을 넓혀 혁신을 기회로 삼으면서도 인간의 가치를 지키고 키워나갈 수 있는 정책을 계속 고민하겠다”고 밝혔다.

손봉석 기자 paulsohn@kyunghyang.com

Copyright © 스포츠경향.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