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발집 사장님·대법관·尹멘토…당심까지 노린 후원회장 ‘쩐의 전쟁’

손지은 2023. 2. 9. 18:1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민의힘 3·8 전당대회가 10일부터 본경선 돌입하는 가운데 '쩐의 전쟁'도 막이 올랐다.

이에 후보들은 당원들에게 공개적으로 소구할 수 있는 인물로 후원회장을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초대 후원회장은 윤 대통령의 정치 멘토인 신평 변호사, 신 변호사가 '탈당설' 논란으로 하차한 이후에는 곧바로 윤 대통령의 대선 후원회장인 김철수 양지병원 이사장을 위촉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민의힘 3·8 전당대회, 10일 본경선 돌입
당원 84만명 대상 ‘고비용 선거’
선거 전략 압축한 ‘후원회장’ 영입
김기현 ‘尹대통령의 사람’ 위촉
안철수, 과학자 택해 ‘정책 후원’도
이준석은 허은아·김용태 후원 맡아
선거 비용 보전 제도 도입 공약도
당 지도부와 기념촬영하는 국민의힘 최고위원 후보들 - 당 지도부와 기념촬영하는 국민의힘 최고위원 후보들 (서울=연합뉴스) 국민의힘 최고위원 후보들이 7일 서울 강서구 한 방송 스튜디오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3차 전당대회 후보자 비전 발표회에서 당 지도부와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경안, 김진모 선거관리위원, 김재원, 조수진, 이만희, 천강정, 태영호, 이용, 박성중 최고위원 후보, 정진석 비대위원장, 유흥수 선관위원장, 김석기 사무총장, 문병호, 정미경, 김병민, 허은아, 김용태 최고위원 후보. 2023.2.7 [국회사진기자단] toadboy@yna.co.kr (끝)

국민의힘 3·8 전당대회가 10일부터 본경선 돌입하는 가운데 ‘쩐의 전쟁’도 막이 올랐다. 정치자금법에 따라 후원금을 1억 5000만원까지 모을 수 있지만 당원 84만명을 대상으로 선거를 치르려면 고도의 전략이 필요하다. 후보들은 자신의 정체성과 비전을 상징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인물을 후원회장으로 영입하며 경쟁을 벌이고 있다.

전당대회에서 후원회장은 단순히 ‘후원금 모금’의 의미가 아니다. 국민의힘 당헌·당규는 현역 국회의원과 원외당협위원장이 특정 후보를 지지하거나 캠프의 직책을 맡지 못하도록 한다. 이에 후보들은 당원들에게 공개적으로 소구할 수 있는 인물로 후원회장을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당대표 후보인 김기현 의원은 ‘윤석열 대통령의 사람’으로 후원회장을 택했다. 초대 후원회장은 윤 대통령의 정치 멘토인 신평 변호사, 신 변호사가 ‘탈당설’ 논란으로 하차한 이후에는 곧바로 윤 대통령의 대선 후원회장인 김철수 양지병원 이사장을 위촉했다.

안철수 의원은 안규홍 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부원장이 후원회장을 맡았다. 과학자인 안 전 부원장이 후원금 모금 역할뿐 아니라 ‘정책적 후원자로서의 역할’을 한다는 의미를 담았다. 천하람 변호사는 이석연 전 법제처장이 후원회장을 맡았다. 천 변호사는 출마 선언 당시 “이 전 처장에게 후원회장을 요청한 분들이 많았는데 모두 거절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자신이 ‘선택’ 받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최고위원 후보들도 후원회장 선택에 다양한 의미를 담았다. 김병민 전 비대위원은 ‘족발집 사장님’을 택했다. 그는 “저희 동네 중곡동 제일시장에서 족발집을 경영하는 젊은 자영업자 이준기는 학창 시절 함께 뛰놀던 친구”라고 소개했다. 김재원 전 최고위원도 경북 상주의 ‘동네 어르신’을 후원회장으로 모셨다. 청년 최고위원 후보인 장예찬 청년 재단 이사장은 지난달 안대희 전 대법관을 위촉하며 “대법관으로 공정한 사법 체계를 확립한 법조계의 큰 스승”이라고 강조했다.

이준석 전 대표는 최고위원 후보인 허은아 의원, 김용태 전 청년 최고위원의 후원회장을 맡았다. 이 전 대표는 페이스북에 “컷오프 결과 발표 이후에 후보들 기름 한 번 넣고 가야 한다. 다들 세액공제 적립 찬스 대기해주시길”이라며 모금을 독려했다.

전당대회는 공직선거와 달리 선거비용 보전제도가 없어 후원금 1억 5000만원 외에는 모두 자비로 부담해야 한다. 84만 당원에게 지지 문자를 1회만 보내도 2400~3000만원이 소요된다. 이에 청년 최고위원 후보인 이기인 경기도의원은 “수억원대에 이르는 이 전당대회 비용을 감당할 수 있는 청년이 얼마나 되겠느냐”며 ‘전당대회 비용 보전제도’ 도입을 대표 공약으로 내놨다.

손지은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