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d+生'에 빠진 MZ들

정상희 2023. 2. 9. 17:5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MZ세대들의 '갓생(God+生)' 열풍이 올해도 이어지고 있다.

갓생은 신을 의미하는 'God'과 인생을 뜻하는 '생'의 합성어로 생산적인 일상을 보내고, 성취감을 얻는 일을 규칙적으로 한다는 뜻이다.

성실하고 부지런한 일상을 지향하면서 꾸준한 성취를 내는 '갓생' 열풍에 운동, 다이어트, 학습 등 관련 콘텐츠 매출도 급상승하고 있다.

갓생은 이미 MZ세대 대부분이 한 번쯤은 시도해보는 주류 라이프스타일로 떠올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MZ세대 10명 중 9명 "올해 갓생에 도전할것"
운동·다이어트·학습 등 자기계발 투자에 적극

MZ세대들의 '갓생(God+生)' 열풍이 올해도 이어지고 있다. 갓생은 신을 의미하는 'God'과 인생을 뜻하는 '생'의 합성어로 생산적인 일상을 보내고, 성취감을 얻는 일을 규칙적으로 한다는 뜻이다. 성실하고 부지런한 일상을 지향하면서 꾸준한 성취를 내는 '갓생' 열풍에 운동, 다이어트, 학습 등 관련 콘텐츠 매출도 급상승하고 있다.

■"갓생 위해 월 18만원 낼 의향 있다"

성장관리 앱 '그로우'가 신년을 맞아 MZ세대 560명을 대상으로 갓생에 대한 설문조사를 한 결과, 갓생을 위해 월평균 17만9000원을 지출할 의향이 있다고 나타났다. 생활공간 플랫폼 '스페이스클라우드'가 최근 회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서도 응답자 300명 중 91.3%가 올해 갓생에 도전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갓생은 이미 MZ세대 대부분이 한 번쯤은 시도해보는 주류 라이프스타일로 떠올랐다. 이에 관련 제품의 매출도 크게 상승하는 모양새다. 실제로 위메프가 지난 연말 마지막 2주간 판매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학습용품, 취미용품 등 갓생을 위한 아이템 매출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말 인기 품목인 스터디 플래너와 신년 다이어리 수요는 각각 27%, 18% 늘었다. 스마트폰 보편화로 존재감이 낮아졌던 달력도 전년 대비 57% 증가했다.

매년 새해 목표 우선순위인 건강관리 용품도 인기를 끌면서 건강보조용품(63%), 전자담배/금연보조용품(54%), 치아 보조용품(28%) 판매가 늘었다. 추운 날씨로 야외 운동 비수기임에도 운동용품 매출도 증가해 등산 아웃도어와 수영 카테고리의 거래액이 각각 36%, 59% 상승했다. 이밖에 다양한 취미활동이 증가하면서 스케치 드로잉 등 미술용품 매출이 75% 증가했다.

■이러닝 등 자기계발 투자도 적극적

특히 자기계발을 위한 학습 용품 관련 거래액이 눈에 띄게 올랐다.

학습서·이러닝 카테고리 거래액은 40% 상승했고, 인터넷강의 수강권을 비롯한 온라인 교육 부분이 1662%로 크게 올랐다. 전자사전, 타이머 등 학습기기 매출도 59% 신장했다.

외국어 공부가 가장 일반적인 목표 중 하나인 만큼 관련 관련 업계는 챌린지 방식을 적용한 이벤트 등으로 신규 수요를 적극 공략하고 있다. YBM넷의 온라인 교육브랜드 YBM인강은 영어 학습과 환급금을 둘 다 잡을 수 있는 '영어 12주 적립 챌린지'를 운영 중이다. 최대 12주 동안 학습을 완료하면 최대 100% 환급을 받을 수 있어 사실상 무료로 온라인 강의를 듣는 셈이다.

이밖에 갓생 살기 필수 앱 '마이루틴'은 스스로 매일 지키고 싶은 크고 작은 습관들을 정해두고 체크할 수 있는 '습관 형성 앱'이다. 30분 조깅 하기, 물 2L 먹기, 하루 한 끼 채식하기 등 목표를 세우고, 실천을 통해 성취감과 나만의 일상 루틴을 만들 수 있다. 마이루틴의 이용자는 100만명을 돌파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MZ세대뿐 아니라 여러 세대를 아우르며 갓생이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 잡았다"면서 "운동, 다이어트, 외국어학습 등 관련 산업은 더욱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wonder@fnnews.com 정상희 기자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