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사의 품격' 英 롤스로이스 vs '마초적 매력' 伊 람보르기니

박한신 2023. 2. 9. 17:1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Cover Story
슈퍼카 DNA 살펴보니
英, 슈트 맞추듯 슈퍼카 제작
럭셔리·디테일의 정점 선보여
벤틀리, 여왕의 차로 이름날려
이탈리아 브랜드는 '개성' 뚜렷
페라리, 우아함·강렬함 뿜어내

슈퍼카 브랜드끼리는 경쟁할 필요가 없다는 말이 있다. 3억원, 5억원을 넘는 슈퍼카 구매자들의 취향은 그만큼 확고하고 또 세분화돼 있다는 뜻이다, 브랜드 또한 “다른 브랜드는 언급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갖고 있다. 경쟁을 거부한다는 것은 자신의 DNA를 분명히 하면 구매자의 취향이 그들을 선택하리라는, 브랜드의 자부심이자 헤리티지다.

그렇다면 ‘슈퍼카’라는 모호한 단어로 이들 브랜드를 하나로 묶는 것 또한 실례가 될 수 있다. 슈퍼카, 럭셔리카, 하이퍼카 등 이들 브랜드를 세분화하려는 노력도 존재한다. 이들의 DNA를 얘기하기 위해 어떤 구분이 유효할까. 피는 못 속인다고, 이들의 전통은 ‘국적’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슈퍼카 브랜드의 국적을 따지자면 크게 영국과 이탈리아로 나뉜다. 럭셔리의 대명사 롤스로이스, 벤틀리, 맥라렌이 영국의 대표적 브랜드다. 존재감이 엄청난 페라리와 람보르기니가 이탈리아의 유명 브랜드다.

 ○“영국 브랜드는 럭셔리를 안다”

“영국은 럭셔리가 뭔지 안다”는 게 롤스로이스나 벤틀리를 타본 전문가들의 공통적인 탄성이다. 거꾸로 얘기하면 롤스로이스와 벤틀리가 영국 브랜드일 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다는 얘기다. 이들 브랜드는 영국의 고급 테일러링(재단)을 떠올리게 한다. 자동차도 슈트를 맞추듯 제작한다. 왕실을 정점으로 한 귀족 문화가 자동차마저 고급스럽고 디테일하게 만들었다는 분석이 많다.

그중에서도 롤스로이스는 럭셔리의 ‘극단’이다. 벤틀리도 마찬가지지만 롤스로이스는 더욱 철저한 맞춤형 제작을 고집한다. 디자인은 물론 시트를 꿰맬 실의 소재, 페인트의 종류, 광택의 정도까지 상상력이 허락하는 한 모든 디테일을 구매자가 주문할 수 있다. 정우성 더파크 대표는 “롤스로이스는 자동차 한 대를 사는 게 아니라 작품을 구입한다는 개념으로 보는 게 맞다”며 “글로벌 차원의 부자들도 롤스로이스를 가지고 싶어 한다는 건 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벤틀리는 롤스로이스에 비해서는 조금 더 ‘위트’가 있는 브랜드로 꼽힌다. 1920년대 벤틀리와 그 브랜드의 철학을 사랑한 레이서의 모임은 ‘벤틀리 보이즈(Bentley Boys)’였다. 보이즈라는 이름에서 벌써 롤스로이스와는 다른 분위기가 풍긴다. 벤틀리는 레이싱 DNA도 갖췄다. 하지만 럭셔리에선 뒤지지 않는다. 일단 영국 여왕이 탔던 차가 벤틀리다. 수백 년 된 나무를 패널로 쓰기도 하고, 운석에서 떨어져 나온 돌을 사용하기도 했다.

영국 브랜드지만 맥라렌은 조금 예외다. 럭셔리보다는 F1 레이싱카로서의 DNA가 두드러진다. 정 대표는 “맥라렌을 운전할 때면 맨몸으로 싸우는 기분”이라고 했다. 운전자가 못하는 걸 알아서 해준다기보다는, 운전자가 차를 주도적으로 컨트롤하게 한다는 얘기다.

 ○이탈리아 슈퍼카는 캐릭터

이탈리아 슈퍼카의 특징은 ‘개성’이다. 장인 패션의 나라여서일까. 자동차 또한 브랜드는 우아한데 성능은 광폭할 정도로 높다. 정 대표는 “내가 이해하기에 이탈리아 슈퍼카는 캐릭터와 미학적 완성도가 상당히 뛰어나다”며 “확실히 성격이 강한 차들을 만든다”고 설명했다.

영국 차들이 모나지 않으면서도 럭셔리를 극대화했다면 이탈리아 슈퍼카는 날 것, 생물에 가깝다. 페라리 로고에 앞발을 든 말이 새겨진 것은 우연이 아니다. 페라리를 일견 봤을 땐 차별화된 우아함이 풍기는데, 디테일에 시선을 두면 형상화된 근육들이 눈에 들어온다.

람보르기니는 좀 더 직선적이다. 스포츠카 DNA를 직접적으로 담고 있고, 남성적인 주행 질감이 비교적 더 두드러진다는 평가다. 람보르기니의 정신은 ‘의외성을 기대하라(expect the unexpected)’다. 그 정도로 ‘궁극의 드라이빙 성능’에 대한 자신감이 높다. 다만 최근 들어 나온 차종들은 운전이 조금 더 쉽고 편해졌다는 평가도 많다. 람보르기니가 우루스를, 페라리가 푸로산게를 론칭하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에 발을 들여놓은 것도 같은 맥락이다.

 ○슈퍼카의 핵심은 ‘헤리티지’

유럽은 자동차를 그 자체로 보는 문화가 성숙해 있다. 가족 대대로 물려받으며 타는 차도 있고, 취향을 담은 소량 생산 브랜드도 발달했다. 한국에서 ‘하차감’이라는 표현으로 대표되는 위계가 덜 작동한다는 뜻이다.

슈퍼카 문화도 어떻게 보면 다르지 않다. 신차도 있지만 역사를 담은 수십 년 전의 슈퍼카들이 도로를 다니고, 이를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1970년대부터 슈퍼카가 수입된 일본도 아시아에서는 ‘헤리티지 문화’가 성숙한 편이다. 슈퍼카 시장이 형성된 지 15년쯤 지난 한국에서도 변화의 조짐이 보인다. 슈퍼카를 단순히 뽐내기 위해 사는 경우는 점점 줄고 있다. 외부로부터의 단순 하차감이 아니라 자기 내면의 취향을 중시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는 것이다.

박한신 기자 phs@hankyung.com

해외투자 '한경 글로벌마켓'과 함께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