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가월부] "7000명 해고, 7조원 절감"… 디즈니 다이어트에 주가 '화색'

차창희 기자(charming91@mk.co.kr) 2023. 2. 9. 17:0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이거 복귀 후 첫 실적발표
지난해 4분기 매출 8% 상승
전망치 웃돌자 주가도 올라
OTT 엔터·스포츠·테마파크
3개 부문으로 회사 구조조정
아이거 "비용줄여 배당 재개"
디즈니플러스 가입자 감소세
월가 "순증해야 옛 고점 회복"

과거 '콘텐츠 제국' 월트 디즈니의 전성기를 이끌었던 밥 아이거가 디즈니 최고경영자(CEO)에 복귀한 뒤 월가 기대치에 부합하는 성적표를 받았다. 디즈니 주가는 8일(현지시간) 시간외거래에서 5% 이상 상승했다.

엔데믹(전염병의 풍토병화)에 따른 외부 활동 증가로 디즈니 파크·체험 사업 부문 실적이 21% 성장한 점이 주효했다. 다만 디즈니의 핵심 성장 동력으로 분류되는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디즈니플러스의 유료 가입자 수와 수익성이 정체 상태에 빠진 건 향후 디즈니가 풀어가야 할 장기 숙제로 평가된다.

이날 디즈니는 지난해 4분기 매출액이 235억1000만달러(약 29조6900억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월가 예상치인 234억3000만달러에 부합하는 수치다. 전년 동기와 비교해선 8% 증가했다. 디즈니 미디어·엔터테인먼트 배급 사업 부문의 성장률은 1%에 불과했지만 엔데믹으로 디즈니 파크·체험·제품 매출액이 21% 급증했다. 주당순이익(EPS)도 0.99달러를 기록해 월가 예측치(0.79달러) 대비 25.3% 웃돌았다.

디즈니는 호실적과 함께 비용 절감 계획도 발표했다. 향후 글로벌 직원의 3.6%에 해당하는 7000명을 감원해 비용을 줄이겠다고 강조했다. 디즈니 측은 이번 정리해고를 통해 55억달러(약 6조9400억원)가량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또 디즈니는 조직 운영을 효율화하기 위해 향후 사업 부문을 △엔터테인먼트(영화·텔레비전·스트리밍) △ESPN(스포츠) △테마파크 3개로 나눠 회사를 재편할 것이라는 계획도 밝혔다. 시장조사 업체 스트리트어카운트에 따르면 최근 디즈니는 스트리밍 서비스 가격을 올리면서 300만달러(약 37억8500만원) 이상의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된다. 소비자들이 미디어 지출 비용을 줄이는 상황에서 콘텐츠 사업의 핵심인 창의성과 효율성을 강화해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것이다. 아이거 CEO는 "디즈니는 비용을 줄이면서 창의성을 중심으로 회사를 재편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의 경제 매체인 CNBC는 "아이거 CEO가 다시 지휘권을 잡으면서 디즈니는 비용을 줄이고 콘텐츠 제작의 손에 창의력을 되돌려줌으로써 비즈니스의 중요한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호실적과 비용 절감 계획 발표 후 디즈니 주가는 시간외거래에서 상승했다. 8일 기준 디즈니 주가는 지난해 말 기록한 단기 저점(84.07달러)에서 32% 급등한 111.78달러에 머물고 있다. 단기 반등세를 보여주긴 했지만 현재 디즈니 주가는 팬데믹 발발 이전 수준(140~150달러)에 크게 못 미치고 있다. 2021년 3월 203.02달러로 역사적 고점을 찍은 뒤 줄곧 내리막길을 걸었고 여전히 '반 토막' 정도인 것이다.

월가에선 디즈니 주가가 과거 수준을 회복하기 위해선 주요 성장 동력으로 삼고 있는 디즈니플러스 가입자 수가 순증세를 보여야 한다고 지적한다. 또 다른 OTT 공룡인 넷플릭스도 최근 실적 발표에서 월가 기대치에 못 미치는 이익 수치를 발표했지만 구독자가 늘면서 주가가 급등했다.

최근 디즈니가 배급한 영화 '아바타: 물의 길'이 개봉 후 흥행 기록을 이끌긴 했지만 디즈니 전체 매출액에서 콘텐츠 판매·라이선싱 사업 부문 비중은 16%에 불과하다. 디즈니가 가장 많은 돈을 벌어들이는 부문은 OTT 디즈니플러스와 ESPN플러스, 훌루(Hulu) 등으로 대표되는 다이렉트컨슈머 사업으로 매출액 중 36%를 차지한다.

중요한 건 디즈니가 성장 동력으로 삼아 사업을 확장하고 있는 디즈니플러스의 유료 가입자 수가 전 분기 대비 줄었다는 점이다.

디즈니플러스가 출시된 뒤 처음으로 순감한 것이다. 디즈니플러스 코어와 핫스타를 포함한 유료 가입자 수는 1억6180만명으로 직전 분기(1억6420만명) 대비 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민하 삼성증권 연구원은 "인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 리그인 '인도 크리켓 프로 리그(IPL)' 중계권을 상실해 디즈니플러스 핫스타 가입자가 줄어든 영향"이라고 밝혔다.

특히 수익성에서 중요한 디즈니플러스 코어의 유료 가입자당 월평균 수익이 줄어든 점이 성장 정체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디즈니플러스 핫스타는 요금제가 코어 대비 상대적으로 저렴하다. 디즈니플러스 코어의 이번 분기 유료 가입자당 월평균 수익은 5.77달러로 직전 분기보다 3% 감소했다. 디즈니플러스 핫스타의 월평균 수익은 28% 급증했지만 기본적인 수익성이 디즈니플러스 코어의 7분의 1에 불과한 수준이라 전체 이익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 다만 ESPN플러스와 훌루의 가입자 수는 각각 2% 증가했다.

현금흐름도 좋은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디즈니의 이번 분기 잉여현금흐름은 -21억5500만달러(약 -2조7100억원)로 나타났다. 직전 분기 잉여현금흐름(-11억9000만달러) 대비 더욱 악화됐다.

월가에선 디즈니가 팬데믹 이후 중단해온 배당 정책을 올해 말 재개하겠다는 계획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아이거 CEO는 "디즈니의 비용 절감은 배당 정책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며 "처음에는 배당금 수준이 적겠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꾸준히 늘어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해외 증시와 기업 분석 정보는 유튜브 '월가월부'에서 볼 수 있습니다. QR코드를 찍으면 '월가월부'로 이동합니다.

[차창희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