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ENM 지난해 영업이익 1374억원…전년比 53.7% 감소

이소연 기자 2023. 2. 9. 17: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CJ ENM이 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 1374억원을 기록했다고 9일 공시했다.

CJ ENM의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은 66억1300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7.7% 줄었다.

4분기 실적을 부문별로 보면 미디어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9.0% 증가한 7287억원을 기록했다.

영화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69.3% 증가한 1869억원을 기록했으며, 영업이익은 52억원으로 흑자 전환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CJ ENM 로고./ CJ ENM 제공

CJ ENM이 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 1374억원을 기록했다고 9일 공시했다. 전년 대비 53.7% 감소한 수치다. 매출액은 4조7992억원으로 34.9% 증가했으나 순손실은 1657억원으로 적자전환했다.

CJ ENM의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은 66억1300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7.7% 줄었다. 같은 기간 매출은 1조464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7.1% 증가했다.

4분기 실적을 부문별로 보면 미디어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9.0% 증가한 7287억원을 기록했다.

드라마 ‘슈룹’, ‘환혼: 빛과 그림자’, ‘술꾼도시여자들2′ 등 지식재산(IP) 확대에 따른 콘텐츠 판매와 티빙 매출 증가로 매출 성장세가 이어졌다. 다만 콘텐츠 제작 비용이 확대되면서 영업손실이 492억원을 기록했다.

음악 부문 매출은 1715억원으로 분기 기준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164억원이었다. 임영웅 ‘아임 히어로’, 에이티즈(ATEEZ) 월드투어, 2022 마마 어워즈, INI ‘2022 첫 아레나 라이브 투어’ 등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에 따라 콘서트가 재개되면서 매출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여기에 JO1 싱글 앨범 ‘미드나잇 선’(MIDNIGHT SUN) 누적 판매량이 자체 기록을 경신하는 등 앨범 판매가 호조를 보이며 수익성 제고에 기여했다.

영화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69.3% 증가한 1869억원을 기록했으며, 영업이익은 52억원으로 흑자 전환했다.

국내 매출은 부진했지만, 해외 매출이 747.6%,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부가판권 매출이 668.6% 각각 증가했다. 앞서 CJ ENM이 인수한 미국 스튜디오 피프스시즌의 영화 매출 773억원이 반영된 것도 매출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커머스 부문은 4분기 매출 3769억원, 영업이익 342억원을 기록했다. 더엣지, 브룩스 브라더스 등 단독 브랜드 판매와 라이브커머스 ‘엣지쇼’, ‘브티나는 생활’의 판매가 호조를 보이면서 수익성이 개선된 것으로 분석됐다.

구창근 CJ ENM대표는 “CJ ENM 비즈니스는 콘텐츠의 기획부터 시청에 이르기까지 호흡이 길고 진화에 시간이 필요한 사업이다”라며 “수익뿐 아니라 IP 확보, 인재 육성, 제작 프로세스와 건전한 생태계 구축 전략 등이 중장기 사업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단기 손익 극대화에 신중하게 접근하겠다”라고 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