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 10명 중 8명, 경제위기로 ‘스트레스’... 코로나 영향보다 커

손사라 기자 2023. 2. 9. 16:24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기도민 정신건강실태조사" 경기연구원(2022). 경기도민 스트레스 수준 변화 그래픽 자료. 경기도 제공

 

경기도민 10명 중 8명 이상이 ‘3고(고금리·고물가·고환율)’ 경제위기로 스트레스가 높아졌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지난해 11~12월 도민 1천3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담은 ‘위기상황에서의 취약계층 정신건강 실태 및 정책적 대응 방안’ 보고서를 9일 발간했다.

조사 결과, 3고로 인해 스트레스가 늘었다는 응답자가 84.5%에 달했다. 이는 코로나19로 스트레스가 늘었다는 응답률(72.3%)보다 12.2% 포인트 높은 수치다. 성별로는 여성(87.8%)과 남성(81.3%)이 비슷했고 연령별로는 40대 87.7%, 30대 86.7%, 50대 85.5% 등 순이었다.

우울증(PHQ-9) 심각도의 경우 지난 2021년 3월 도민 조사와 비교했을 때 ‘우울증에 해당된다’가 16.5%에서 56.8%로 증가했다. 우울증 평균 점수는 6.92점으로 우울증이 만연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코로나19 장기화와 함께 3고 현상 등의 경제위기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우울증 심각도를 가구 특성별로 보면, 기초생활수급 가구가 비수급 가구보다 3점 이상 높게 나타났다. 가구 형태별로는 1인 가구가 다인 가구보다 우울 수준이 높게 나왔다.

특히 경제문제로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수록 우울증 점수도 일관되게 높아졌다. ‘스트레스를 매우 받는다’는 응답자의 우울증 점수는 8.20점(가벼운 우울증)으로 ‘스트레스 전혀 받지 않는다’는 응답자의 2.42점(우울증 아님)과 차이를 보였다.

이에 연구원은 정신건강 악화를 예방하기 위해 유형별 맞춤형 지원 전략을 제시했다. ▲위기 특성에 맞는 취약계층 선별 대책 및 사각지대 발굴 ▲위기상황 종료 후 자살률 증가에 대비한 선제 대응 ▲상담센터와 행정복지센터 연계 서비스 강화 ▲정확한 정신건강 수준과 변화를 파악하기 위한 후속 조사 등이다.

유정균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최근 정신건강 문제는 코로나19와 경제적 어려움이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며 “이에 영향을 미치는 취약 요인들을 점검해 맞춤형 지원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손사라 기자 sarah@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