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여성도 '이 병' 있으면 당뇨병 위험 [헬시타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폐경 전 젊은 여성이 비알코올성 지방간으로 인한 당뇨병 발병 위험에 가장 취약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그 결과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있는 그룹은 그렇지 않은 그룹과 비교해 당뇨병 발생 위험이 폐경 전 여성에서 4.6배, 폐경 후 여성에서 2.7배, 남성에서 2.2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2형 당뇨병 위험요인인 비알코올성지방간
폐경 전 여성서 당뇨병 증가 위험 가장 높아
폐경 전 젊은 여성이 비알코올성 지방간으로 인한 당뇨병 발병 위험에 가장 취약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강북삼성병원 데이터관리센터 류승호·장유수 교수, 김예진 연구원 공동 연구팀은 2011~2018년 건강검진 자료를 토대로 당뇨병에 노출되지 않은 성인 24만 5054명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9일 밝혔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하루 소주 4잔(40g) 이하로 술을 적게 마셔도 간에 중성지방이 5% 이상 쌓인 상태를 말한다. 과체중과 비만(복부 비만),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같은 대사질환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식습관과 생활 방식 변화로 젊은 층과 여성에서 발병률이 늘어나는 추세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제2형 당뇨병을 부추키는 요인으로 지목되기도 한다.
연구팀은 성별과 폐경 여부에 따라 남성(13만 286명), 폐경 전 여성(10만 9810명), 폐경 후 여성(4958명) 등 세 그룹으로 나누고 5.3년간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있는 그룹은 그렇지 않은 그룹과 비교해 당뇨병 발생 위험이 폐경 전 여성에서 4.6배, 폐경 후 여성에서 2.7배, 남성에서 2.2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경 전 여성이 당뇨병의 상대 위험도가 가장 컸다. 특히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중증도가 높을수록 증가 폭이 더 두드러졌다.
장 교수는 “당뇨병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 비알코올성 지방간 유무에 따른 성별 간 차등 영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며 “기존 저위험군으로 분류됐던 젊은 여성도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있으면 당뇨병 발생을 안심할 수 없기 때문에 생활 습관 관리에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간학회 공식학술지에 실렸다.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들사랑' 이부진, 졸업식 날 손에 든 한정판 스마트폰은
- 최소 2억 시세 차익…성남 무순위 '줍줍' 경쟁률 1000대 1
- 배우 유아인 '프로포폴 상습 투약' 혐의 수사…'조사에 협조'
- '아이유' 입점하나…팬 플랫폼 '디어유' 주가 꿈틀 [특징주]
- 주말 1만5000명 몰린다…'백종원 효과' 들썩이는 그곳
- '양궁 기보배.hwp' 문건에 서울대 '광클 전쟁'…무슨 일?
- '꺼내주면 노예 될게요'…17시간 동안 동생 지킨 소녀 사연 '화제'
- 식당서 딸 바지 내리고 '쉬'…휴대용 변기 꺼낸 엄마에 '분노'
- '내 아들 때렸니?'…초등학교 쫓아가 보복 폭행한 베트남 부모
- 육체관계 없는 ‘오피스 와이프’ 둔 남편…이혼 가능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