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ENM 작년 4Q 영업익 78%↓···커머스는 웃고 엔터 부진

송주희 기자 2023. 2. 9. 14:4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CJ ENM(035760) 커머스 부문이 지난해 4분기 패션·뷰티 등 고수익 상품을 중심으로 한 포트폴리오 강화와 성수기 효과에 힘입어 수익성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뷰티, 건강기능식품 등 고수익 상품의 포트폴리오를 재편해 운영 구조를 효율화한 것이 주요했다고 CJ ENM은 분석했다.

CJENM은 올해 '원플랫폼'을 내걸고 TV와 모바일 라이브커머스 등 채널 간 시너지 강화에 더욱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연결영업익 66억원으로 78% 급감
커머스, 성수기 효과 영업익 16%↑
엔터 역대 최대 매출 불구 영업손실
"제작비 증가에 광고 마진 축소 탓"
[서울경제]

CJ ENM(035760) 커머스 부문이 지난해 4분기 패션·뷰티 등 고수익 상품을 중심으로 한 포트폴리오 강화와 성수기 효과에 힘입어 수익성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CJ ENM이 발표한 2022년 4분기 실적에 따르면 커머스 부문은 3769억 원의 매출을 올려 전년 동기 대비 소폭(0.6%) 신장했다. 영업이익은 16.2% 뛴 342억 원을 기록했다.

패션 신상품 론칭 및 편성 강화와 가을·겨울(FW) 시즌 성수기 효과가 맞물려 수익성 회복이 극대화됐다. 여기에 뷰티, 건강기능식품 등 고수익 상품의 포트폴리오를 재편해 운영 구조를 효율화한 것이 주요했다고 CJ ENM은 분석했다.

CJENM은 올해 ‘원플랫폼’을 내걸고 TV와 모바일 라이브커머스 등 채널 간 시너지 강화에 더욱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콘텐츠 커머스를 비롯한 차별화된 마케팅으로 핵심 상품 취급고 및 자체 브랜드 유통을 확대하겠다는 것이다.

한편 CJENM의 지난해 4분기 전체 매출은 1조 4640억 원으로 2021년 4분기보다 47.1%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77.7% 급감한 66억 원에 그쳤다. 엔터 부문이 역대 최대 매출(1조 871억 원)을 달성한 반면, 콘텐츠 제작비 증가 및 광고 마진 부진 등의 여파로 영업이익이 적자 전환, 276억 원의 손실을 기록했기 때문이다.

송주희 기자 ssong@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