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작년 영업익 1조6901억원… 사상 첫 ‘25조 매출’ 달성

박성우 기자 2023. 2. 9. 14:0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KT1998년 상장 후 처음으로 연 매출 25조 원을 돌파했다.

KT는 5세대 이동통신(5G)의 탄탄한 수익성을 기반으로 디지코 전환에 더욱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KT는 지난해 연결 기준으로 매출액 25조6500억원, 영업이익 1조6901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다만 지난해 4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6조5830억 원, 1514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0.6%, 59% 줄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구현모 KT 대표 /KT 제공

KT1998년 상장 후 처음으로 연 매출 25조 원을 돌파했다. KT는 5세대 이동통신(5G)의 탄탄한 수익성을 기반으로 디지코 전환에 더욱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KT는 지난해 연결 기준으로 매출액 25조6500억원, 영업이익 1조6901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2021년보다 각각 3%, 1.1% 늘어난 수치다. 다만 지난해 4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6조5830억 원, 1514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0.6%, 59% 줄었다.

유·무선 사업(Telco B2C)에서 5G 가입자가 845만 명을 넘어서며 휴대전화(핸드셋) 기준 5G 비중이 62%를 기록했다. 초고속인터넷은 기가인터넷 판매 비중이 증가해 매출이 전년 대비 3.3% 늘었다. B2C 플랫폼 사업(DIGICO B2C)에서는 IPTV 사업 매출이 전년 대비 6.5% 증가했다.

기업간거래(B2B) 플랫폼 사업은 누적 수주액이 전년 대비 13.2% 늘었다. 특히 인공지능컨택센터(AICC)사업 매출은 전년 대비 89.9% 증가했다. B2B 고객 대상 사업(Telco B2B) 중 기업 인터넷 사업은 국내외 대형 CP사의 트래픽 증가로 매출이 전년 대비 7.7% 늘었다. 기업통화는 또한 알뜰폰(MVNO) 시장 확대에 힘입어 매출이 7.7% 증가했다.

/자료=KT

그룹 사업 영역도 성장을 이어갔다.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등의 성공에 힘입어 미디어콘텐츠 자회사들은 매출이 전년 대비 25.4% 증가했다. 클라우드 사업에서는 공공 클라우드 전환 시장에서 1위를 이어가는 등 두 자릿수 성장세를 이어갔다.

금융업에서는 BC카드 매출이 8.8% 늘었고, 케이뱅크는 7분기 연속 영업 흑자를 이어갔다. 케이뱅크의 2022년말 가입자는 849만명으로 전년보다 132만명 늘었다. 2022년 말 수신 잔액은 14조6000억원, 여신 잔액은 10조8000억원으로 각각 전년 대비 29.2%. 51.9% 증가했다.

KT그룹은 지난해 CJ ENM, 현대차그룹, 신한은행 등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앞으로도 파트너사와의 적극적인 제휴를 바탕으로 디지코 성공사례를 만들어나갈 계획이다.

김영진 KT 최고재무책임자(CFO) 전무는 “앞으로도 KT는 성장과 수익성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아 기업가치를 높여 주주들에게 신뢰받는 기업이 되겠다”고 말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