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상원 정보위원장 "北개발자 페북 정보 접근…첩보악용 우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북한을 비롯해 중국과 러시아, 이란 등의 10여만명의 개발자가 페이스북의 민감한 사용자 정보에 접근했으며 페이스북이 이를 이미 수년 전부터 알고 있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들은 북한을 비롯해 중국과 러시아 등 고위험국의 개발자가 페이스북의 API에 접근한 빈도와 데이터 형식에 대한 포괄적 기록을 가지고 있는지, 이들이 접근한 정보 유형은 무엇인지 등 8가지 질문에 답할 것을 요청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워싱턴=연합뉴스) 김경희 특파원 = 북한을 비롯해 중국과 러시아, 이란 등의 10여만명의 개발자가 페이스북의 민감한 사용자 정보에 접근했으며 페이스북이 이를 이미 수년 전부터 알고 있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민주당 소속인 마크 워너 미 상원 정보위원장과 마르코 루비오 부위원장은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에게 지난 6일 서한을 보내 이 같은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8일(현지시간) 알려졌다.
의원들은 이날 공개된 서한에서 "페이스북이 최소 2018년 8월부터 중국을 포함해 자체적으로 '고위험'군으로 분류한 나라의 수십만 개발자들이 상당한 분량의 민감한 사용자 정보에 접근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페이스북의 모회사 메타가 관련된 소송 자료에서 이 같은 사실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앞서 뉴욕타임스(NYT)는 2018년 페이스북이 화웨이 등 중국의 주요 메이커들에게 데이터 이용 시 인증 역할을 해 주는 응용프로그래밍인터페이스(APT) 접근 권한을 제공했다고 폭로한 바 있다.
의원들은 또 서한에서 "우리는 최근에 페이스북이 중국에 기반한 장치 개발자는 물론이고 훨씬 광범위한 외국 개발자들이 사용자 자료에 접근했다는 결론을 내린 사실을 알게 됐다"고 공개했다.
이어 "내부 문서에 따르면 이는 9만명의 중국인 개별 개발자를 비롯해 4만2천명 이상의 러시아 개발자, 북한과 이란 등 고위험국의 수천명의 개발자를 포함한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이런 접근이 표적화부터 대적 활동에 이르는 외국의 첩보 활동을 어느 정도 가능하게 했는지 심각한 우려를 가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북한을 비롯해 중국과 러시아 등 고위험국의 개발자가 페이스북의 API에 접근한 빈도와 데이터 형식에 대한 포괄적 기록을 가지고 있는지, 이들이 접근한 정보 유형은 무엇인지 등 8가지 질문에 답할 것을 요청했다.
kyunghee@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전두환 손자 "모레 한국 가서 5·18 유가족에 사과"
- 소품총 들고 지하철 탄 연극단원…112신고에 수사중
- 집에 사흘 방치돼 숨진 2살 아기…옆에는 김 싼 밥 한공기뿐 | 연합뉴스
- 이집트 아비도스 람세스2세 신전서 양머리 미라 2천개 발굴 | 연합뉴스
- [OK!제보] "정가보다 60배 비싼 오픈마켓"…소비자 우롱하는 '가격 뻥튀기' | 연합뉴스
- "'검정고무신' 사업 77가지…이우영 작가몫은 1천200만원 불과"
- 육견농장서 개 사체·뼈무덤 발견…경기광주 동물학대 현장 적발 | 연합뉴스
- 저커버그, 세번째 딸 얻어…"넌 정말 작은 축복"
- 200만원 빌려주고는 "2천만원 갚아" 감금·폭행한 유흥업자
- '전자발찌' 차고 노래방서 처음 본 도우미 성폭행 시도한 40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