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적] 김주애의 호칭 상승
누군가의 권력·서열은 최고권력자와의 거리에서 드러난다. 동서고금의 철칙이지만, 사회주의 체제에선 더 도드라진다. 북한·중국의 열병식 주석단이나 당대회 좌석, 관영매체 호명 순서, 군부대 방문 동행자가 바뀌면 뉴스가 만들어진다. 그 정치적 함의를 읽는 것이다.
북한 권력지도에선 호칭 변화도 주목한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3대 세습 후계자로 뜬 것도 2009년 ‘청년대장 김정은’이란 말이 전해지면서다. 청년대장은 아버지 김정일 국방위원장만 썼던 칭호다. 김 국무위원장의 얼굴이 2010년 9월 조선노동당 3차 당대회에서 공개되기 전 일이다. 2011년 아버지 사후 국방위 제1위원장·노동당 제1비서로 시작된 그의 직책은 현재 국무위원장·노동당 총비서·무력최고사령관이다. 관영매체는 통상 ‘경애하는’ 수식어를 붙이는데 2021년 집권 10주기엔 ‘위대한 수령’도 등장했다. ‘장군님’으로 불린 아버지도 생전에 못 쓰고, 김일성 주석만 쓰던 말이다. 권력 장악 후 우상화를 시도하는 징후였다.
북한 건군절 75주년인 8일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 동지께서 존경하는 자제분과 함께 군 장성 숙소에 도착하셨다”고 보도했다. 기념사진 정중앙엔 둘째 딸 김주애가 앉아 있었다. 고모 김여정도 부착한 ‘김일성·김정일 초상휘장’을 가슴에 달지 않은 이도 김정은·리설주 부부 외엔 그가 유일했다. 더 눈에 띈 건 호칭이다. 김주애가 공식 석상에 등장한 것은 지난해 11월 화성-17형 발사 현장과 그 공로자 기념사진 촬영 행사 후 세 번째다. ‘사랑하는 자제분’으로 시작된 호칭은 그 후 ‘제일로 사랑하는~’과 ‘존귀하신~’으로 바뀌고, 이번에 ‘존경하는~’으로 높아졌다. 사진 속 위치도 호칭도 이날의 주인공은 열흘 뒤 만 10세가 되는 김주애였다.
당장 ‘4대 세습’ 전조로 보는 눈이 있다. 김 국무위원장의 인민군 격려 연설에 나온 “계승” “유전”이란 말까지 연계한 해석이다. 군·미사일 행사에만 동행하는 어린 딸을 두곤 ‘미래도 안전하다’고 말하고픈 권력자의 메시지로 보는 시각도 여전하다. 김 국무위원장은 올해 39세다. 세습을 위한 포석으로 단정하긴 이르다. 한다 해도 20여년 후계자 수업을 한 김정일식이 된다. 이제 김주애의 호칭까지 주목할 판이 됐다.
이기수 논설위원 kslee@kyunghyang.com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반성도 안 하는데 왜 굽히나”…윤 지지자도 등 돌렸다
- 김건희 도이치 계좌 모른다, 모른다···권오수를 가리키는 진술들
- “현빈·손예진 이혼?”···유튜브 ‘가짜뉴스’ 넘쳐나
- “조기 교육”이라며 생후 1개월 아들 안고 대마 연기 내뿜은 아빠ㅣ
- “뺑뺑이만 2만보”“주말 롯데월드냐”···동원예비군 리오프닝에 ‘헬’
- 윤 대통령 “한·일관계, 과거 넘어야”…정상회담 후폭풍 정면돌파
- ‘전두환 사용’ 옛 지방청와대 명품가구 경매에 부친다
- ‘나는 신이다’ JMS 정명석 측 증인 출석 안 시켜 재판 ‘파행’
- “문재인 전 대통령, ‘이재명 외 대안 없다’” 전언, 진짜인가
- 윤 대통령, 일본에 선물만 안겼다···기시다 지지율만 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