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바사, 3257억 들여 글로벌 바이오 허브 구축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SK바이오사이언스가 출범 이후 최대 규모인 3257억원을 투자해 '바이오 허브' 구축에 나선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8일 이사회에서 '송도 글로벌 R&PD 센터(글로벌 리서치&프로세스 디벨롭먼트 센터·조감도)' 설립을 의결하고 후속 절차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날 SK바이오사이언스는 기승인 된 투자비 419억원을 포함한 총 3257억원을 투자해 송도의 3만413.8㎡ 부지에 R&PD 센터를 설립키로 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바이오·백신 산업 고도화 목표"
SK바이오사이언스는 8일 이사회에서 '송도 글로벌 R&PD 센터(글로벌 리서치&프로세스 디벨롭먼트 센터·조감도)' 설립을 의결하고 후속 절차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날 SK바이오사이언스는 기승인 된 투자비 419억원을 포함한 총 3257억원을 투자해 송도의 3만413.8㎡ 부지에 R&PD 센터를 설립키로 했다. 2025년 상반기 중 R&PD 센터가 완공되면 현재 경기도 판교에 위치한 본사와 연구소가 송도로 이동하게 된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연구부터 상업 생산까지 전 과정을 아우르는 최첨단 R&PD 센터 설립을 통해 기존의 비즈니스 영역을 고도화하고, 신규 감염병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글로벌 백신 생태계를 조성한다는 목표다.
R&PD 센터에는 글로벌 기업 및 기관과 협력할 수 있는 오픈 랩을 설립한다. 오픈 랩은 SK바이오사이언스와의 파트너십을 추진 및 강화하고자 하는 세계 각국의 바이오 기관·기업들의 사무 및 연구 공간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자체적인 연구개발(R&D) 기술력 고도화 및 자체 백신 파이프라인 강화를 위한 연구 및 생산시설 고도화도 추진한다. 우선 감염병 생물안전등급(BSL)-3 연구시설을 포함한 최첨단 연구시설을 구축할 계획이다.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개발(CDMO) 시장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파일럿 플랜트'도 설립한다. 파일럿 플랜트란 신규 공법이나 제품을 도입하기 전 건설하는 소규모의 시험적 설비를 말한다. 파일럿 플랜트에는 신성장 전략 중 하나인 세포유전자치료제(CGT), mRNA, 바이럴벡터 등 신규 연구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시설도 마련된다.
안재용 SK바이오사이언스 사장은 "R&PD 센터는 대한민국을 넘어 전 세계의 바이오 및 백신 산업 고도화를 위한 꿈의 무대"라며 "체계적인 플랫폼 확대를 통해 경제적 이윤 창출뿐만 아니라 글로벌 네트워크의 코어로써 전 세계인의 안전한 내일을 지킬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성관계 중 나도 모르게 대변이"..30대女, 원인 알 수 없어 '참담' [헬스톡]
- 796명 영아 시신, 수녀원 폐하수조서 발견…아일랜드 유해 발굴 착수
- 교사와 공모해 시험지 빼돌린 학부모도 구속…학생 퇴학 의결
- 아내 불륜 상대가 배달 기사? "집으로 같이 들어가"
- 신지, '문원 딸 재산 상속' 우려 댓글에 "그런 일 없을 것"
- 장근석, 갑상선암 투병 고백 "가족에게도 말못했다"
- '옥중화'·'파도야 파도야' 강서하, 투병 끝 사망…향년 31세
- '尹 재구속' 남세진 부장판사는 누구…'차분·합리적 스타일'
- 화장품 대박 친 'CEO 조민'...국내 완판하더니 태국 직행
- "사랑이 죄인가요"…직장상사와 불륜 저지른 女의 억울함 토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