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가 가난해지는 환경, 굳이 주식을 사야겠다면..”
8일 오후 5시 조선일보의 경제 유튜브 채널 ‘조선일보 머니’와 조선닷컴을 통해 공개된 ‘방현철 박사의 머니머니’에서는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 경제연구실장과 ‘파월의 돈줄 죄기 어디까지 갈까’라는 주제로 미국 경제와 증시 전망에 대해 얘기를 나눠봤습니다. 김 실장은 ‘경제 읽어주는 남자TV’라는 유튜브 채널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김광석 실장은 제롬 파월 의장이 이끄는 미국 연준의 긴축에 변화가 있을 시점으로 소비자물가와 기준금리가 크로스(교차) 하는 시점을 주목하라고 했습니다. 김 실장은 우선 ‘내려갈 때는 올라간 만큼 걸린다’는 경험 법칙을 얘기했습니다. 미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를 넘긴 게 2021년 상반기이고 피크(고점)를 찍은 게 작년 6월인만큼 2% 물가에서 정점까지 1년반쯤 걸린 셈입니다. 김 실장은 경험적으로 봐서 다시 2% 밑으로 떨어지려면 1년반쯤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했습니다. 때문에 올해 안에 연준의 물가 목표(2%) 밑으로 확실하게 떨어지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했습니다.
대신 미 연준이 기준금리를 연 5% 가까이 올리고,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그보다는 낮은 수준으로 둔화돼서 크로스 하는 시점이 올해 상반기에 나타날 수 있다고 봤습니다. 김 실장은 “크로스 시점 이후에는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위원들 사이에서 금리를 추가적으로 올릴 필요가 있느냐는 의견이 강해질 수 있다”며 “그런 관점에서 올해 4월 정도에 연 5% 쯤에서 미국 기준금리의 고점을 기록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김 실장은 올해 결국은 물가가 목표를 상회할 것이기 때문에 파월 의장이 연내에 금리 인하까지는 단행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김 실장은 올해 상반기에 미 연준의 금리 인상이 멈추더라도 연내에 금리 인하까지는 가지 않을 것으로 내다 보기 때문에 미국 경제의 침체는 불가피할 것으로 봤습니다. 김 실장은 “미국 경제 성장률이 올해 전체로 봐서 역성장을 겨우 모면하고 0%대 성장을 보일 것으로 전망하기 때문에 침체라고 보는 것”이라며 “미국이 고용이 탄탄하다는 이유를 들면서 침체가 오지 않을 것이라고 얘기하는 의견이 있는데, 고용은 후행적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이는 맞지 않는 얘기가 될 것”이라고 했습니다. 김 실장은 또 “많은 기업들이 침체기를 맞아 신규 투자를 위축시키고 설비 용량을 줄이는 등의 과정에서 취업자가 실업자로 바뀌게 되므로, 고용 충격은 경기 침체의 후순위로 오는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김 실장은 “올해 던지는 화두 중 하나가 ‘모두가 가난해지는 환경’”이라며 “이런 환경 아래에서는 근로자들은 고용시장에 남아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일단은 미국에서 고용이 좋은 모습을 보이는 것”이라고도 했습니다.
김 실장은 미국의 침체가 불가피하다고 보기 때문에 미국 증시에 대한 투자도 유의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김 실장은 “미국 주가는 작년 10월 저점을 찍었다고는 보지만, 앞으로 실적 발표 등에 따라 경기 침체 우려가 추가적으로 반영되면서 주가 반등과 증시 자금 이탈을 반복하면서 박스권에서 머무르는 한 해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고 했습니다.
김 실장은 “금리가 높기 때문에 저축을 우선 고려하되,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격적인 투자자라고 한다면 올해는 경기 침체의 영향권에서 벗어날 수 있는 산업군에는 투자를 고려해도 될 것으로 본다”며 “경기 침체 국면에서는 반도체가 들어가 있는 내구재들은 사지 않더라도 식료품 등 필수 소비재에 대해선 절대적인 소비 지출을 줄이지 않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김 실장은 “경기가 어떤 국면인지 판단하고, 경기 국면에 걸맞은 투자 스탠스를 가져가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방현철 박사의 머니머니’는 월·수·금요일 오후 5시 시장분석, 자산운용, 재테크 전문가, 증권가 고수들의 목소리를 듣는 시간입니다. 영상은 경제 유튜브 채널 ‘조선일보 머니’와 조선닷컴을 통해서 공개됩니다.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꼭 알아야할 한국 배우들”…아르헨 매체가 뽑은 ‘K드라마 스타’ 10명은?
- 이인규 회고록에…유시민이 꺼낸 ‘더글로리’ 박연진 대사는
- 머스크, 기자가 메일 보내면 자동으로 ‘똥 이모티콘’ 날려보내
- 학창시절 문제아가 ‘20세기 최고의 언론 경영자’ 된 3가지 비결 [송의달 LIVE]
- [더 한장] 이 봄, 새옷 입는 서울광장
- “피멍 든 아들의 허벅지” 남의 마음에 피멍 들게 하지 말라 [세이노의 가르침]
- “우리 아빠가 누군지 알아?” 검사 아들이 으스대는 이유 [세이노의 가르침]
- [7NEWS] 국내 상륙하는 애플페이... 간편결제 전쟁 서막 오르나
- “마지막 사랑” 언론재벌 머독 92세에 다섯번째 결혼한다, 66세 아내는
- 아마존, 두달만에 9000명 추가 감원한다...2차 정리해고 바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