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 속에 신세계 최대 영업익, 롯데쇼핑도 이익 껑충

정유미 기자 2023. 2. 8. 16:3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롯데백화점

롯데쇼핑이 지난해 고물가와 경기침체에 따른 소비심리 하락에도 마트 부문이 흑자전환 하는 등 선방한 실적을 내놓았다. 신세계는 지난해 백화점 판매 호조를 바탕으로 연간 기준 사상 최대인 6400억원대 영업이익을 냈다.

롯데쇼핑은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이 15조4760억원으로 0.6% 감소했다고 8일 공시했다. 매출은 소폭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은 3942억원으로 89.9% 늘었다. 지난해 4분기 기준으로는 매출은 0.2% 증가한 3조7901억원, 영업이익은 7.5% 감소한 1011억원이었다.

사업부별로 보면 백화점은 매출과 영업이익을 모두 키우며 성장을 이끌었다. 매출은 3조2320억원으로 11.9%, 영업이익은 4980억원으로 42.9% 증가했다. 백화점 연간 매출이 3조원을 넘은 것은 코로나 이전인 2019년 이후 3년 만이다.

4분기 매출은 6.6% 늘었지만, 쇼핑환경 개선과 브랜딩 강화를 위한 리뉴얼 등으로 일회성 비용이 증가하며 영업이익은 13.7% 감소했다. 마트는 체질 개선 끝에 실적 전환을 이뤄냈고, 슈퍼 사업부도 구조조정의 성과가 나타났다.

마트는 지난해 매출이 5조9040억원으로 3.3% 늘었고 영업이익은 540억원으로 흑자 전환했다. 특히 4분기에는 물가 상승으로 간편식과 델리 매출이 20.8% 늘었고, 해외점도 베트남을 중심으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신장했다.

슈퍼는 지난해 매장을 33개 줄이면서 매출은 7.5% 줄었지만 영업적자 폭은 줄였다.

이커머스 사업은 전문관 중심으로 플랫폼을 개선한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지난해 4월부터 순차적으로 오픈한 화장품, 명품, 패션 전문관이 자리 잡으면서 연간 매출액은 4.5%, 4분기 매출액은 28.8% 늘었다.

코로나 기간 가장 피해가 컸던 컬처웍스는 아바타2 같은 대작 개봉과 엔데믹 영향 등으로 매출은 111.8% 증가했고 영업이익도 10억원으로 흑자 전환했다.

다만 하이마트의 경우 글로벌 인플레이션과 고금리에 따른 소비 침체에 희망퇴직 위로금 등 일회성 비용까지 반영되면서 매출은 13.8% 감소했고 영업손실 520억원으로 적자 전환했다.

홈쇼핑도 패션과 건강식품 등 고마진 상품 비중이 감소하면서 매출(-2.3%)과 영업이익(-23.5%)이 모두 줄었다.

롯데쇼핑은 올해도 경기침체는 이어지겠지만 마스크 해제 등에 따른 엔데믹 수요로 백화점 사업부 등의 성장은 지속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백화점 사업부는 오는 8월 베트남 하노이에 백화점과 호텔, 오피스 등으로 이뤄진 ‘롯데몰 웨스트레이크’를 오픈하는 등 해외 사업에도 힘을 싣는다.

신세계백화점 야경.

한편, 신세계는 연결 기준 지난해 영업이익이 6454억원으로 전년보다 24.7%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이날 공시했다. 2021년 기록한 종전 최대 영업이익(5173억원)을 1년만에 갈아치웠다.

매출은 7조8128억원으로 전년 대비 23.7% 증가했다. 순이익은 5050억원으로 29.9% 늘었다.

다만 작년 4분기 영업이익은 1413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27.6% 줄었다. 4분기 매출과 순이익은 각각 2조2140억원과 1772억원이었다.

부문별로 백화점 매출이 1조8657억원으로 11.6% 늘었고 영업이익은 3479억원으로 전년보다 864억원 증가했다.

이 실적에는 별도 법인으로 돼 있는 대구·대전·광주 신세계는 제외한 것이다. 이들까지 더하면 백화점 사업 총매출은 2조4869억원으로 전년보다 16.4% 늘어난다. 영업이익은 5018억원으로 1396억원 증가했다.

다만 지난해 4분기는 매출 신장폭이 다소 주춤했다. 4분기 백화점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6686억원, 영업이익 1499억원으로 각각 4.8%, 6.9% 증가했다.

연결 자회사도 대체로 선방했다. 신세계디에프(신세계면세점)는 연간 매출 3조4387억원으로 전년 대비 29.3% 늘었다. 다만 영업이익은 53억원으로 전년(775억원)보다 대폭 감소했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은 패션부문 매출과 수익성이 개선돼 지난해 매출 1조5539억원, 영업이익 1153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각각 7.1%, 25.3% 증가했다. 신세계센트럴시티는 고객수 회복으로 매출이 23.3% 증가해 3240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634억원이었다.

신세계까사는 주택거래량 감소로 홈퍼니싱 시장이 위축돼 277억원 영업손실을 냈다. 매출은 16.5% 증가한 2681억원을 기록했다.

신세계 관계자는 “어려운 업황에도 지속적인 온·오프라인 투자, 자체 브랜드 개발 육성으로 지난해 누계 기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며 “온·오프라인에 걸쳐 새로운 유통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본업 경쟁력을 높이는 등 내실을 다지겠다”고 말했다.

정유미 기자 youme@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