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선 결절, 절제 없이 치료 가능해 [건강 올레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갑상선은 목 앞쪽 중앙에 위치한 나비 모양의 내분비기관이다.
다만 결절의 변화를 지켜보다가 크기가 지속적으로 커지거나 주변 조직을 압박해 숨이 차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면 갑상선 고주파절제술과 같은 비수술 치료를 고려해보아야 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갑상선은 근육에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눈에 띄거나 손으로 만져지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반면 육안으로도 관찰이 가능한 질환도 있다. 바로 세포의 과증식으로 인해 조직의 일부분이 커지는 갑상선 결절이다.
갑상선 결절은 성인의 20~40%에서 발견될 정도로 흔한 내분비 질환으로 남성보다는 여성 환자의 비율이 높다. 아직 정확한 발병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지만 나이가 많거나 가족력이 있는 경우 발병률이 높아 유전적 요인이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정된다.
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으나 결절이 이미 어느 정도 진행 된 상태라면 혹이 만져지거나 목 안에서 이물감이 느껴지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결절은 보통 하나만 발생하지만 간혹 여러 개가 생기는 경우도 있으며, 양성종양과 악성종양으로 구분된다. 양성종양은 단순한 혹이기 때문에 별다른 치료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으나 악성종양, 즉 갑상선암의 경우 생명에까지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을 통해 악성 여부를 판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행히 갑상선결절 환자 중 약 5% 정도만이 갑상선암 진단을 받으며, 특별한 증상이 없어 일상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상태라면 정기적인 추적관찰을 우선적으로 시행한다. 다만 결절의 변화를 지켜보다가 크기가 지속적으로 커지거나 주변 조직을 압박해 숨이 차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면 갑상선 고주파절제술과 같은 비수술 치료를 고려해보아야 한다.
잠실연세하와유외과 임종원 대표원장은 “갑상선 고주파절제술은 고주파 열을 이용해 결절 조직을 괴사시키는 치료 방식으로 결절 부위에 바늘을 정확히 삽입해야 성공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만큼 풍부한 의료진의 풍부한 임상경험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갑상선결절의 경우 진행 속도가 더디기 때문에 자각하지 못하고 병변이 커진 후에 발견하는 경우가 많다”며 “가족력이 있는 경우라면 정기적인 검진을 받아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양형모 기자 hmyang0307@donga.com
저작권자(c)스포츠동아.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함소원, 베트남 파티를 뒤집어 놓을 파격 시스루 자태 [DA★]
- ‘대장금’ 최자혜, 루트비컴퍼니와 전속계약…장윤정과 한솥밥 [공식]
- 서하준, 똑 닮은 미모의 여동생 공개 “오빠가 가장 역할” 애틋 (신랑수업)
- ‘고딩 엄빠’ 최연소 중딩 엄마 강효민, 다섯째 임신 고백
- 이대호 子 이예승, 나이 7살에 송판 8개 격파…‘체육인의 피’(오은영 게임)[TV종합]
- ‘송지아 아빠’ 송종국 “매일 이를 악물고…”
- “백종원 좀 말려 달라”, 노사갈등까지 번졌네 (백사장)
- 고은아 심경 “정신적-금전적 고통에 은퇴 결심”
- 이덕화 친일파 가문이라니 충격적, 주원과 대치 (스틸러)
- 회사에서 음란물 보는 변태 빌런이라니 ‘경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