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활동 회복 기대에.. 올 에너지 사용량 1.3%↑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국내 에너지 수요가 전년 동기 대비 1.3% 가량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에너지연구원 관계자는 "이번 수치는 올해 경제성장률은 1.7%, 국제 유가는 1배럴당 89.9달러, 냉난방 수요는 과거 10년 평균기온 수치를 이용해 도출했다"며 "올해 총에너지 수요는 생산활동 회복과 유가 안정화 등으로 증가율 상승폭이 전년 대비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년 증가율(0.3%)의 4배 이상
유가 안정화, 생산활동 회복 등이 영향
올해 국내 에너지 수요가 전년 동기 대비 1.3% 가량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지난해와 달리 에너지 가격이 다소 안정세를 취할 것으로 분석되는데다 에너지 다(多) 소비 업종인 철강업과 석유화학 부문의 에너지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는 관측 때문이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은 올해 국내 총에너지 수요가 전년 대비 1.3% 증가한 3.09억toe(석유환산톤)에 달할 것이라고 8일 밝혔다. 지난해 에너지 소비 증가율은 0.3% 수준으로 경제성장률(2.6%)을 크게 밑돌았다. 지난해 에너지 소비 증가율이 낮았던 배경으로는 △태풍 피해에 따른 철강업 생산 차질 △석유화학 수요 부진으로 인한 가동률 급락 △유가 급등으로 인한 수송 부문 에너지 소비 감소 등을 꼽았다.
반면 올해에는 경제성장률 둔화 전망(1.7%)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발생했던 에너지 소비 감소 요인들이 일부 해소되거나 완화되며 에너지 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에너지원별 수요 증감 예상치는 신재생·기타(9.9%), 원자력(4.7%), 석탄(1.8%) 순이며 가스와 석유는 각각 1.5%와 0.6%씩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가스는 도시가스 수요가 소폭 증가하나 발전용 수요가 대폭 감소하면서 전체 수요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석유는 소비 비중이 높은 석유화학 원료용 시장을 중심으로 수요 감소가 예상된다.
에너지 소비 부문별로 살펴보면 산업 부문은 올 하반기 생산활동이 회복되며 에너지 수요가 1.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수송 부문은 석유 가격 하락과 코로나19 이후 이동 수요의 완만한 회복 등으로 0.5%의 수요 상승이 예상된다. 건물 부문 에너지 수요는 냉·난방도입 감소 등으로 사용량 증가세가 1.4%에 그칠 전망이다.
에너지연구원 관계자는 “이번 수치는 올해 경제성장률은 1.7%, 국제 유가는 1배럴당 89.9달러, 냉난방 수요는 과거 10년 평균기온 수치를 이용해 도출했다”며 “올해 총에너지 수요는 생산활동 회복과 유가 안정화 등으로 증가율 상승폭이 전년 대비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세종=양철민 기자 chopin@sedaily.com<©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조민 '떳떳, 숨지 않겠다' 말에…SNS 팔로워 8배 늘었다
- 육체관계 없는 ‘오피스 와이프’ 둔 남편…이혼 가능할까?
- 밀실 문 열자 침대에 고교생 커플이…변종 '룸카페' 적발
- '뚫릴래?' 병사 팔에 전동드릴 댄 육군 간부…軍, 수사 착수
- 카카오 손잡은 SM…최대주주 이수만 '법적 책임 물을 것' 대응
- 난방비 공방에…한덕수 '국민에 참아줄건 참아달라 해야' 작심발언
- 한 달 뒤 27억 날아간다…로또 1등 당청금 주인은 어디에
- 'BTS 정국 모자 1000만원'…외교부 전 직원 사건의 결말
- “이제 집 사도 될까” 질문에 챗GPT 답은?
- 3살 아들 애정표현에…'저 또라이' 욕하고 때린 아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