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착] 폭격맞은 것 처럼…위성으로 본 튀르키예 지진 전과 후

박종익 2023. 2. 8. 10:3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6일(이하 현지시간) 튀르키예와 시리아에서 규모 7.8(USGS)의 강진이 발생해 사망자 수가 7800명을 넘어선 가운데 참혹한 광경이 멀리 위성으로도 확인됐다.

지난 7일(현지시간) 미국 CNN 등 외신은 위성으로 포착한 튀르키예 도시의 지진 발생 전과 후의 모습을 비교해 공개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민간 상업위성업체 맥사 테크놀로지가 위성으로 촬영한 이슬라히예 지역의 지진 전과 후 모습

지난 6일(이하 현지시간) 튀르키예와 시리아에서 규모 7.8(USGS)의 강진이 발생해 사망자 수가 7800명을 넘어선 가운데 참혹한 광경이 멀리 위성으로도 확인됐다. 지난 7일(현지시간) 미국 CNN 등 외신은 위성으로 포착한 튀르키예 도시의 지진 발생 전과 후의 모습을 비교해 공개했다.

미국의 민간 상업위성업체 맥사 테크놀로지가 위성으로 촬영해 공개한 지역은 이번 지진으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곳 중 하나인 이슬라히예와 누르다기 등 지역이다. 촬영 시점은 지진 발생 후인 지난 7일과 지난 2019년, 2022년으로 피해 상황이 극명하게 비교된다.

맥사 테크놀로지가 위성으로 촬영한 이슬라히예의 지진 전과 후 모습
지난 6일 튀르키예에 강진이 발생한 가운데 지진 전과 후의 모습이 위성사진에 담겼다

먼저 과거 이슬라히예의 위성 사진에는 평범한 도시 모습이 담겨있지만 지진 발생 후 많은 건물들이 처참하게 무너진 것이 보인다. 마치 러시아의 폭격으로 파괴된 우크라이나 도시 모습이 연상될 정도. 실제 뉴욕타임스 등 외신은 전문가의 말을 인용해 규모 7의 지진은 히로시마 원자폭탄 32개와 맞먹는 에너지이며, 이번 지진은 규모 8에 가까운 수준으로 더 강력하다고 평가했다. 또 다른 사진 역시 이와 비슷한 모습인데 맥사 테크놀로지 측은 "촬영 당시 구름과 악천후가 위성 사진에 영향을 미쳤지만 건물과 기반 시설의 심각한 피해는 확인된다"고 밝혔다.

지난 6일 튀르키예에 강진이 발생한 가운데 지진 전과 후의 모습이 위성 사진으로 담겼다. 지진 발생 후(아래 사진) 사진 중앙 공원에 흰 구조물은 응급 구조 텐트다.

수많은 사상자를 낳고 있는 이번 강진은 지난 6일 오전 4시 17분 튀르키예 남부 도시 가지안테프에서 약 33㎞ 떨어진 내륙, 지하 17.9㎞에서 발생했으며, 오후 1시 24분 카흐라만마라슈 북동쪽 59㎞ 지점에서 규모 7.5의 지진이 뒤따랐다. 두 차례에 걸친 강진과 80여 차례의 여진으로 튀르키예는 물론 남부 인접국 시리아에서도 사상자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로이터통신과 AFP통신에 따르면 이번 강진으로 튀르키예에서는 5894명이 사망하고 3만 4000명 이상 다친 것으로 집계됐다.

6일(현지시간) 튀르키예 카흐라만마라슈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인해 건물이 파손되고 붕괴된 모습이 일반적으로 보여지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또한 시리아에서도 최소 1932명이 숨진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이는 지금까지 확인된 사망자만 집계한 것이어서 앞으로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앞으로도 사망자가 수천명 단위로 계속 늘 것이라며, 이번 지진에 따른 사망자가 2만 명을 넘을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전문가들은 이번 지진의 피해를 키운 원인으로 진원까지 깊이가 18㎞로 얕은 편이라는 점과 해당 지역에서 근 200년간 큰 지진이 일어나지 않아 에너지가 축적됐다는 점을 꼽았다. 여기에 10년 이상 시리아 내전으로 대다수 건물의 상태가 좋지 않고, 지진이 새벽에 발생해 대피가 어려웠던 점도 피해를 키웠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