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늘어나는 크기와 방향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피부부착 센서 개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연구진이 피부가 늘어나는 크기와 방향을 동시에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피부부착형 스트레인 센서를 개발했다.
ETRI 플렉시블전자소자연구실 김성현 책임연구원은"연구진이 개발한 고정확 스트레인 센서는 간단한 구조로도 피부의 복잡한 변형 양상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어 재활치료 및 헬스케어, 로봇, 의족·의수, 웨어러블 기기 등 전자피부가 필요한 분야에 폭넓게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3년 내 상용화 목표… 재활치료에 쓰일 듯
국내 연구진이 피부가 늘어나는 크기와 방향을 동시에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피부부착형 스트레인 센서를 개발했다. 스트레인은 물체가 외부의 힘을 받았을 때 생기는 길이의 변화를 의미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중앙대 연구팀과 함께 360도 전 방향에 걸쳐 늘어나고 줄어드는 신축량과 변형 방향을 98%의 정확도로 감지할 수 있는 스트레인 센서를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기존 피부부착 스트레인 센서는 고무와 같은 신축성 소재와 그래핀, 탄소나노튜브(CNT) 등 전도성 나노소재를 더해 신축성 전도체 채널을 만든 뒤, 채널이 늘어나고 줄면서 변화하는 전기 저항값으로 변형의 크기를 감지했다. 하지만 이런 구조는 미리 정해진 특정 방향으로 가해지는 변형만을 감지할 수 있어 같은 부위라도 상황에 따라 여러 방향으로 늘어나는 피부의 특성을 정확히 측정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진은 세계 최초로 늘어나는 크기와 방향을 동시에 잴 수 있는 스트레인 센서를 제작했다. 또 인공신경망 구조를 이용한 AI 알고리즘을 적용해 크기와 방향을 98% 정밀도로 예측하는 데 성공했다.
이 기술의 핵심은 로운 방향성 센서 구조다. 연구진은 일자 형태의 신축성 전도체 채널을 늘어나지 않는 두 개의 단단한 영역 사이에 걸쳐 360도로 늘어나는 방향에 따라 주기적인 저항 증감 특성을 나타내는 새로운 구조를 구현해 특허출원을 마쳤다. 여기에 세 개의 센서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해 이들 신호의 조합으로 특정 부위의 신축 방향과 변형량을 동시에 뽑아낼 수 있었다.
ETRI 플렉시블전자소자연구실 김성현 책임연구원은”연구진이 개발한 고정확 스트레인 센서는 간단한 구조로도 피부의 복잡한 변형 양상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어 재활치료 및 헬스케어, 로봇, 의족·의수, 웨어러블 기기 등 전자피부가 필요한 분야에 폭넓게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진은 3년 내 상용화를 목표로 향후 본 기술을 다양한 동작 하에서 근육 및 관절의 움직임 측정에 적용해 근골격 질환의 진단 및 상시 재활치료에 적용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 Copyrights ⓒ 조선비즈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인터뷰] “전기차 혁명의 주역은 테슬라 아닌 K배터리”…‘밧데리 아저씨’의 이유있는 역설
- 통신칩도 대만 승리?… '조용한 경영' 삼성, 추월 당했다
- ‘기무치 다음은 맛코리?’ 원조 한국산 자리 밀어내는 일본산 막걸리
- 이렇게 생긴 중국산 카스테라 절대 사지 마세요
- 野 양곡법의 역설… 쌀에 3.5조 붓고도 농가는 더 굶는다
- 中·日도 ‘mRNA’ 기술 확보했다...‘패권 다툼’ 시작했는데 한국은 ‘걸음마’
- 드디어 반등장?… 서울 아파트 거래량, 1년 반만에 '최고'
- ‘9년째 공터’ 용산 금싸라기땅… 부영, 착공 안하는 이유
- 코스닥 시총 50위 밖→10위로 쑥… 주가 급등한 로봇회사
- "맥심 화보 찍었으니 양육권 내놔라"…소송 당한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