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초점] 경기도내 소각시설 절반 노후, ‘쓰레기 대란’ 불안

김보람 기자 2023. 2. 8. 05:01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도내 26곳 중 14곳 ‘15년 이상’... 용량 부족 향후 직매립 금지
2026년 전까지 확충 불투명... 道 “주민 협의 등 대책 마련”
경기도청. 경기일보DB

 

경기도내 쓰레기 소각시설의 절반 이상이 제구실이 어려운 노후화 상태에 놓여 시급한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도내 생활폐기물이 매년 증가하는데다, 쓰레기 처리의 또 다른 창구인 매립시설의 용량이 부족한 것은 물론 직매립도 향후 금지되기 때문이다.

7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내에서 발생하는 하루 평균 생활폐기물은 지난 2018년 1만2천406.1t에서 2019년 1만3천196.9t, 2020년 1만5천212.8t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특히 환경부가 2026년부터 수도권(경기·인천·서울) 내에서 종량제 폐기물을 직매립하는 행위를 전면 금지하면서, 폐기물의 소각 여부는 더욱 중요해졌다.

하지만 도내 공공 소각시설 26곳 중 14곳은 사용연한인 15년을 훌쩍 넘어 노후화한 것으로 드러났다. 안양시 자원회수시설은 사용연수가 32년에 달했고, 용인시 용인환경센터는 30년, 성남시 환경에너지시설은 28년, 광명시 자원회수시설 27년 등이다.

이처럼 소각시설이 노후화하면 소각 능력이 떨어져 소각되지 못하는 쓰레기의 양은 늘어난다. 이에 환경부는 지난해 도내 8개 지자체(고양·부천·안산·남양주·안양·화성·김포·광주시)에 직매립이 금지되는 2026년 이전까지 소각시설을 확충할 것을 요구했다.

하지만 이들 중 남양주시, 광주시를 제외한 6개 지자체가 입지 선정에 난항을 겪으면서 2026년 이전 설치는 불투명한 상태다.

이와 함께 도내 공공 매립시설도 9곳 중 4곳이 매립용량의 70%를 넘겨 확충이 필요한 상태에 놓였다. 

현재 가평군 매립시설에는 매립할 수 있는 용량이 91%에 달해 올해 더 이상의 생활폐기물 매립이 어려울 정도로 포화 상태다. 또한 성남시 매립시설은 용량의 85%가 찬 상태고, 연천군은 82%, 양평군은 71%까지 올라갔다. 

상황이 이런데도 도는 소각·매립시설의 대보수를 권고하거나 신설에 대한 대책은 지지부진하다. 공공 소각시설을 설치할 때 해당 지자체에 30%의 비용을 지원하는 것이 전부다.

홍종호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소각·매립시설은 혐오시설이기 때문에 주민의 반대가 강하다”면서도 “장기적으로는 소각시설이 필요하기 때문에 신설 비용만 지원할 게 아니라 주민들에게 인센티브를 주거나 지역의 랜드마크로 만들어 지역사회 활성화에 도움을 주는 등의 방법, 지자체와 주민을 만나 함께 조율하는 대안 등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도 관계자는 “소각시설 신설 등이 지역 주민 반대로 입지 선정부터 난항을 겪어 어려움이 많다. 주민 협의를 돕고 민간 소각시설에서 쓰레기를 처리하는 방법을 마련하는 중”이라며 “인센티브 등 다양한 지원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김보람 기자 kbr13@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