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천적 연민[왕은철의 스토리와 치유]〈281〉
왕은철 문학평론가·전북대 석좌교수 2023. 2. 8. 03: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따뜻한 이야기는 반복하여 들어도 매번 좋다.
'삼국유사'에 나오는 "정수사 구빙녀(正秀師 救氷女)" 이야기, 즉 정수라는 스님이 추위에 죽어가는 여자를 구한 이야기도 그렇다.
어쨌거나 스님의 따뜻한 마음, 아니 몸이 죽어가던 여자를 살렸다.
여자가 깨어나자 난감해진 스님은 옷을 벗어 덮어주고 황급히 그곳을 떠났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따뜻한 이야기는 반복하여 들어도 매번 좋다. ‘삼국유사’에 나오는 “정수사 구빙녀(正秀師 救氷女)” 이야기, 즉 정수라는 스님이 추위에 죽어가는 여자를 구한 이야기도 그렇다. 추운 겨울에 일어난 따뜻한 이야기다.
신라 애장왕 때니까 지금부터 1200여 년 전의 이야기다. 스님은 날이 저물어 자신의 절로 돌아가는 길을 서두르고 있었다. 지독히 추운 겨울날이었다. 그런데 어떤 절 앞을 지나치는데 거지 여자가 아이를 낳고 누워서 죽어가고 있는 게 아닌가. 그는 자기도 모르게 여자의 몸을 껴안고 덥히기 시작했다. 시간이 흐르자 여자의 몸에 온기가 돌았다. 톨스토이의 소설 ‘주인과 하인’에도 비슷한 장면이 나온다. 주인은 눈 속에서 하인이 죽어가는 모습을 보고 하인의 몸을 자기 몸으로 덮어 하인을 살린다. 삼국유사 속의 스님은 더 난감한 상황이다. 상대는 남자가 아니라 아이까지 낳은 여자다. 그러나 그런 것을 생각하고 말고 할 겨를이 없었다. 어딘가에서 솟아난 연민의 감정이 여자의 몸을 껴안도록 만들었다. 연민이 생각을 앞지른 것이다. 톨스토이라면 어떤 존재가 그에게 여자의 몸을 껴안으라고 명령하고 그는 기꺼이 그 말에 복종했다고 표현했을 것이다. 절대자의 윤리적 명령에 복종했다고나 할까. 어쨌거나 스님의 따뜻한 마음, 아니 몸이 죽어가던 여자를 살렸다. 여자가 깨어나자 난감해진 스님은 옷을 벗어 덮어주고 황급히 그곳을 떠났다. 그는 벌거벗은 몸으로 꽤 멀리 떨어진 사찰까지 정신없이 달려갔다. 그리고 거적때기를 덮고 추위에 오들오들 떨며 밤을 보냈다.
삼국유사는 여기에서 얘기를 끝내고 그 승려가 애장왕의 국사가 되었다는 사실을 짧게 전한다. 그가 임금의 스승이 된 것은 높은 학식이나 학문 때문이 아니라 실천적 연민 때문이었다. 자기 옷을 내어주고 벌거숭이가 되어 달려가고 거적때기를 덮고 밤을 나는 실천적 연민, 그 눈부신 몸짓 앞에서는 제아무리 높은 학식이나 학문도 창백해진다.
신라 애장왕 때니까 지금부터 1200여 년 전의 이야기다. 스님은 날이 저물어 자신의 절로 돌아가는 길을 서두르고 있었다. 지독히 추운 겨울날이었다. 그런데 어떤 절 앞을 지나치는데 거지 여자가 아이를 낳고 누워서 죽어가고 있는 게 아닌가. 그는 자기도 모르게 여자의 몸을 껴안고 덥히기 시작했다. 시간이 흐르자 여자의 몸에 온기가 돌았다. 톨스토이의 소설 ‘주인과 하인’에도 비슷한 장면이 나온다. 주인은 눈 속에서 하인이 죽어가는 모습을 보고 하인의 몸을 자기 몸으로 덮어 하인을 살린다. 삼국유사 속의 스님은 더 난감한 상황이다. 상대는 남자가 아니라 아이까지 낳은 여자다. 그러나 그런 것을 생각하고 말고 할 겨를이 없었다. 어딘가에서 솟아난 연민의 감정이 여자의 몸을 껴안도록 만들었다. 연민이 생각을 앞지른 것이다. 톨스토이라면 어떤 존재가 그에게 여자의 몸을 껴안으라고 명령하고 그는 기꺼이 그 말에 복종했다고 표현했을 것이다. 절대자의 윤리적 명령에 복종했다고나 할까. 어쨌거나 스님의 따뜻한 마음, 아니 몸이 죽어가던 여자를 살렸다. 여자가 깨어나자 난감해진 스님은 옷을 벗어 덮어주고 황급히 그곳을 떠났다. 그는 벌거벗은 몸으로 꽤 멀리 떨어진 사찰까지 정신없이 달려갔다. 그리고 거적때기를 덮고 추위에 오들오들 떨며 밤을 보냈다.
삼국유사는 여기에서 얘기를 끝내고 그 승려가 애장왕의 국사가 되었다는 사실을 짧게 전한다. 그가 임금의 스승이 된 것은 높은 학식이나 학문 때문이 아니라 실천적 연민 때문이었다. 자기 옷을 내어주고 벌거숭이가 되어 달려가고 거적때기를 덮고 밤을 나는 실천적 연민, 그 눈부신 몸짓 앞에서는 제아무리 높은 학식이나 학문도 창백해진다.
왕은철 문학평론가·전북대 석좌교수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지진 사망 5100명 넘어… 튀르키예-시리아 ‘통곡의 땅’
- [송평인 칼럼]청와대 시절에도 이런 대통령은 없었다
- 안철수 “1위 후보 사퇴 봤나”… 나경원, 김기현 만나 힘 실어줘
- 국정과제 법안 276건 중 219건 국회서 ‘스톱’
- 분당-일산 등 1기 신도시, 재건축 안전진단 완화
- 공무원에 파격적 성과주의, 민간수준 인사 시스템 도입
- MZ세대 “노조, 근로환경 개선 집중을… 고용세습 요구는 불합리”
- 北 ‘미사일총국’ 신설… 김정은 36일만에 공개활동
- 난방비 폭탄에… “관리비 아끼자” 경비원 줄이고, 태양열 난방 설치
- 가스비 올라 ‘짬뽕 불맛’ 줄이는 중국집… 자영업자 ‘에너지 쇼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