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원, 고리원전 내 사용후핵연료 건식저장시설 건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이 고리원전 내 건식저장시설을 건설한다.
한수원은 2023년도 제1차 이사회를 열고 '고리 사용후핵연료 건식저장시설 건설 기본계획(안)'을 의결했다고 7일 밝혔다.
한수원은 이번 건식저장시설 건설로 가동 중인 원전의 지속 운전을 통한 전력공급 안정은 물론 고리1호기 적기 해체를 위한 사용후핵연료 반출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이 고리원전 내 건식저장시설을 건설한다.
한수원은 2023년도 제1차 이사회를 열고 ‘고리 사용후핵연료 건식저장시설 건설 기본계획(안)’을 의결했다고 7일 밝혔다.
건식저장시설은 고리원전 부지 내에 위치하며, 사용후핵연료가 저장된 금속용기를 건물 안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설계, 인허가 및 건설 등 총 7년의 사업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됐다. 고리본부의 저장용량이 포화되기 전 2030년에 운영하는 게 목표다.
이때 시설은 정부의 고준위 방폐물 관리 기본 계획대로 중간저장시설이 건설되면 사용후핵연료를 반출하는 조건에서 한시적으로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시설 용량은 중간저장시설 가동 전 필요한 최소량인 2,880다발 규모가 될 예정이다.
한수원은 이번 건식저장시설 건설로 가동 중인 원전의 지속 운전을 통한 전력공급 안정은 물론 고리1호기 적기 해체를 위한 사용후핵연료 반출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황주호 한수원 사장은 “건식저장시설은 원전을 운영 중인 33개국 중 24개국이 채택한 안전성이 입증된 저장방식으로, 지진·해일 등 자연재해 뿐만 아니라 의도적인 항공기 충돌에도 시설이 안전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강화된 규제기준을 준수해 설계하겠다”고 말했다.
황 사장은 “설계 방향이 구체화되면 설명회·공청회 등을 통해 지역과 소통하면서 의견을 청취할 계획이며, 정부 기본계획에 의거하여 고리지역과 협의하여 합리적인 지역지원 방안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 Copyrights ⓒ 조선비즈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민주당 29명의 반란...이재명 체포안 가결
- 이재명, ‘단식 승부수’ 걸었지만… ‘불체포특권 포기 번복’이 자충수 됐다
- 하노이에 등장한 ‘베트남판 롯데타운’… 롯데 DNA 모두 담았다
- WSJ “우크라戰이 바꾼 세계 방산지형, 최대 수혜국은 韓”
- 블랙핑크 제니·지수·리사 이적설... YG “확정된 바 없다”
- 현대차만큼 임금 올려준대도…기아 노조 “단호히 거부”
- 태양광부터 그린수소까지… 오만으로 가는 韓 기업
- 금리 6%인데 한달 이자 1300원… 찬밥 신세 ‘초단기적금’
- 태양광 빚투했다, 고금리에 연체 급증
- 윤승아♥김무열, 아들 100일 맞아 얼굴 첫 공개..통통 볼살 ‘누구 닮았나’